미국정부의 한 관계자는 최근 4자회담 예비회담에 대해 韓美(한미) 양국 언론들이 지나치게 많은 기대를 걸고 있는 것 같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는 워싱턴 포스트지가 2일 「미국은 예비회담에서 남북한으로 하여금 직통전화 설치, 군 인사 상호 방문, 군사훈련 사전 통고 등을 통한 한반도 전쟁방지와 긴장완화 방안을 마련토록 할 것」이라고 보도한데 대해서도 너무 앞서간다고 말했다.
그는 『물론 본회담이 열리면 이같은 긴장완화 방안들이 우선적으로 논의되긴 하겠지만 지금 이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예비회담의 일차적인 목적은 본회담이 열릴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는 점을 잊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따라서 남북한이 무리 없이 조속한 본회담 개최에 합의할 수 있도록 「선의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이를 위해 특히 북한에 대해 4자회담의 진정한 의도는 북한체제의 인위적 변화에 있지 않고 그 유지에 있음을 강조할 방침이다.
미국은 아울러 본회담이 열려 한반도 평화정착에 관한 의미있는 대화가 계속될 경우 北―美(북―미)관계도 그와 비례해서 진전될 것임을 분명히 할 것으로 보인다. 북―미관계 진전에는 물론 북한에 대한 식량지원과 대북(對北)경제제재의 일부 완화가 포함된다.
미국으로서 한가지 곤혹스런 점은 북한이 주한미군 철수문제를 주요의제의 하나로 다뤄야 한다고 나올 경우. 국무부의 찰스 카트만 동아태 담당 차관보 대행은 최근 『주한미군 문제가 큰 쟁점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대섞인 전망을 하긴 했지만 역시 민감한 사안.
미국은 이 문제에 대해서 『본회담에 진전만 있다면 포괄적인 한반도 긴장완화의 한 방안으로 논의될 수도 있다』는 원칙을 마련해 놓고 있다. 문제는 북한이 평화정착에 얼마만큼 진심으로 나오느냐에 달려있는데 워싱턴의 분위기는 지금까지 보여준 북한의 행태로 봐 「두고 봐야 한다」는 입장으로 보인다.
〈워싱턴〓이재호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