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지도부는 행정을 간소화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위해 국무원 산하기관의 통폐합과 일부 생산관련 부처를 국영기업화 하는 등 행정개혁안을 마련했다고 홍콩 영자지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가 25일 보도했다.
국무원의 행정구조 조정은 鄧小平(등소평)이 지난 80년대초 단행한 행정개혁 이후 최대 규모로 전자공업부 기계공업부 화학공업부 석탄공업부 등 생산과 경제활동을 담당하는 부처들을 국영기업으로 전환, 정부는 행정과 정책 수립에만 전념하고 기업활동은 해당 국영기업에 맡기는 정경분리 원칙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오는 98년 봄 완료를 목표로 한 이 개혁안에 따르면 행정을 간소화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수송 통신위원회(가칭)를 신설해 민항총국(民航總局) 철도부 우전부 등 업무내용이 유사한 부처들을 통폐합한다는 것이다.
또 환경보호국 수리부 임업부 등을 환경자원부로 통폐합한다고 북경 소식통은 밝혔다. 이 소식통은 江澤民(강택민)국가주석겸 당총서기가 최근 내부회의에서 『행정 구조조정은 앞으로 2∼3년에 걸쳐 단행될 정치개혁의 핵심』 이라고 강조했다고 말했다.
강총서기는 차기총리로 내정된 朱鎔基(주용기)부총리에게 행정개혁과 함께 정부의 관료주의철폐를 주요과제로 일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정동우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