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최근 들어 실업증가에 따른 격심한 사회불안을 겪고 있다.
기업의 구조조정과 기업도산 등에 따라 직장을 잃거나 몇달째 월급을 받지 못한 근로자들의 시위가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으며 앞으로 이같은 근로자들의 반발이 더욱 거세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홍콩에 본부를 둔 ‘중국인권민주운동소식’은 10일 “중국의 5대 도시인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1천명의 실직 노동자들이 8일 시내 간선도로를 점거한 채 온종일 시위를 벌였다”고 발표했다.
이 단체에 따르면 시위자들은 우한시의 공영기업인 가구공장과 수도공사에서 근무하던 노동자들로 공장을 민영화하는 과정에서 1천여명이 일자리를 잃자 오전8시부터 오후5시까지 연좌시위를 벌였다는 것.
지난달 20일경에는 장쑤(江蘇)성 롄윈강(連雲港)시에서 공영기업 근로자 4백여명이 “밀린 6개월치 월급을 달라”며 시청에 몰려가 4시간 동안 시위를 벌였다.
또 베이징(北京)의 3501군피복공장 근로자들도 지난달초 해고계획에 항의하기 위한 집회신청을 경찰에 냈으나 거부당하자 불법시위를 벌이려다 23명이 체포됐다.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는 이달말 설을 맞아 실직노동자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일 것이라는 계획을 사전에 입수, 이를 차단하라는 지시를 치안기관에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서는 지난 한 해 동안 직장을 잃은 사람만도 2천만명이며 이중 6백만명은 아직까지 새로운 직장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
〈홍콩〓정동우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