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구조조정이 시급한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수출 건설업계〓동남아 최대의 교역상대국인 인도네시아 시장을 송두리째 잃어버릴 상황이다. 올해 1·4분기(1∼3월) 수출은 겨우 4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의 절반에 불과하다. 게다가 수출대금을 받지 못한 미수금이 1억2백만달러로 앞으로 만기가 돌아오는 대금도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높다.
인도네시아와 주로 거래하는 중소수출업체들은 “도산 위기”라며 비명이다.
건설업체들도 현지 공사 현장을 철수하거나 계약 직전 공사를 포기하는 사태가 잇따르고 있다.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국내 건설업체들이 인도네시아에서 진행중인 공사는 15일 현재 29건. 이중 12건, 11억8천만달러만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을 뿐 나머지 17건, 14억달러가 중단됐다.
▼금융권〓인도네시아 사태로 촉발된 금융 및 외환시장불안이 동남아 증시침체 및 환율 급등으로 이어지면 국내 금융기관들은 추가적인 손실이 불가피하다. 한국은행 박재준(朴載俊)부총재보는 “일본이 동남아국가에 꿔준 6백94억달러의 채권이 부실화하면 거꾸로 일본 금융기관이 국내 금융기관에 꿔준 외화대출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움직임이 구체화하면 국내 금융시장이 크게 동요할 것이고 자칫하면 걷잡을 수 없는 사태로 번질 수 있다는 것.
▼정부 대책〓정부는 15일 인도네시아중앙은행이 외환결제 등 모든 은행간 청산 절차를 중단,금융시장이 마비되자 국내 금융기관 및 기업의 채권회수 방안 등 긴급대책 마련에 나섰다.
재정경제부는 인도네시아에 대한 자금공여 및 투자 실태를 현지 공관 등을 통해 수시로 점검하고 필요할 경우 점검단을 현지에 파견하기로 했다. 이날 현재 국내금융기관의 인도네시아에 대한 채권은 51억5천만달러, 국내기업의 직접 투자는 12억2천만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반병희·이명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