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송환될 정보요원(신분은 외교관)은 모스크바 주재 한국대사관의 2명과 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관의 3명 등 모두 5명이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20일 이같이 밝히고 “이로써 조성우(趙成禹)참사관과 올레그 아브람킨참사관 추방조치로 빚어진 한―러간 외교문제는 일단락됐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측의 요구는 주러 한국대사관 및 총영사관에 근무하는 우리 정보요원 수가 모두 7명으로 주한 러시아대사관에 나와 있는 러시아 정보요원수 2명보다 5명이나 더많기때문에나온 것으로 안다”고 설명하고 정부는 러시아의 이같은 요구를 ‘보복’이 아닌 ‘정보요원수의 균형 맞추기’로 보고 이를 수용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정보요원이라고는 하나 외교관 신분이고 △이들에게 비자를 내준 것은 러시아정부며 △비자는 통상 2∼3개월의 오랜 심사기간을 거쳐 엄격하게 발급된다는 점 등을 들어 정부가 러시아의 요구를 수용한 것은 ‘저자세 외교’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김창혁기자〉ch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