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제 무기구매와 관련한 우리 정부 입장도 종전과 달리 ‘전향적인 방향’으로 선회할 조짐을 보여 결과가 주목된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6일 “90년 수교 이후 러시아는 우리 정부에 러시아제 무기구입을 끈질기게 요구해왔으나 정부는 한미(韓美)관계 및 기술적 문제 등을 고려해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면서 “장기적인 한―러관계 발전을 위해 이제는 기존의 태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홍순영(洪淳瑛)외교통상부장관이 지난달 25일 이고르 이바노프 러시아 외무장관과의 회담에서 그동안 중단된 한―러 경제공동위를 3월 중 재개키로 합의한 만큼 조만간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러시아 무기구입에 대한 정부 입장을 다시 조율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제 무기구매는 정부가 구(舊)소련과 수교 당시 제공한 경협차관(14억7천만달러) 상환용으로 일부 구매한 것이 전부.
그러나 러시아측은 우리 정부에 경협차관 상환 수준을 넘는 무기구매를 요구해왔으며 지난해 북한 잠수정 침투사건 이후엔 잠수정 탐지용 잠수함 구매도 요청했다는 전언이다.
특히 러시아제 잠수함 구매문제는 김영삼(金泳三)전대통령이 94년 러시아를 방문했을 당시 보리스 옐친 대통령에게 직접 ‘긍정적 답변’까지 한 것으로 알려져 한―러 양국간 민감한 현안으로 잠복해왔다고 외교소식통들은 전했다.
〈김창혁기자〉ch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