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 정부가 아직 공식발표는 하지 않고 있지만 지난해 8월 ‘한미 비확산협의’와 올 1월 제30차 한미연례안보협의회(SCM)를 계기로 한국의 미사일 사거리를 3백㎞로 늘린다는데 원칙적으로 합의한 상태.
한국은 1백80㎞로 묶인 미사일 사거리를 국제기구인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에서 허용하는 수준인 3백㎞까지는 허용해야 한다고 요구해 왔고 미국도 여기엔 큰 이견을 달지 않는 입장이다.
문제는 미국이 △연구―개발―생산―배치 등 미사일 개발의 모든 과정을 공개하고 △3백㎞이상은 연구도 하지 않으며 △민간 로켓기술도 투명성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있다.
한국은 79년 순수기술로 개발한 ‘백곰’미사일을 80년대 후반에 사거리 1백80㎞의 ‘현무’로 개량하는 과정에서 미국요구에 따라 ‘미사일 사거리를 1백80㎞로 제한하겠다’고 약속했다.
사거리 1백80㎞의 미사일은 휴전선에서 쏘면 평양에도 못미치지만 3백㎞는 평안북도 신의주까지 사정권에 두기 때문에 군사전략적 의미가 크게 다르다.
반면에 북한의 미사일 개발속도는 한국보다 훨씬 빠르고 수준도 높다. 76년 이집트로부터 소련제 스커드B 미사일을 도입한 뒤 중국의 기술지원을 받으며 독자적인 미사일 개발에 착수한 것.
84년과 86년에 각각 스커드B(2백34㎞)와 스커드C(5백㎞)를 개발한 북한은 93년 노동1호(1천3백㎞)시험발사에 성공한데 이어 지난해 8월 1천7백㎞이상의 대포동1호를 발사했다.
북한이 개발을 추진중인 대포동2,3호는 사거리 5천5백㎞이상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수준에 이를 것으로 미국은 분석하고 있다.
미일 양국이 적의 미사일 공격을 인공위성 등으로 사전에 탐지해 선제공격하거나 공중요격하는 전역미사일방어체제(TMD)를 공동으로 추진중인 것도 북한 미사일을 핵과 함께 동북아의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 꼽기 때문이다.
미국은 TMD구상에 한국이 참여하고 비용도 분담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나 한국은 면적이 적은 한반도 특성상 짧은 시간에 날아오는 미사일을 요격하기가 힘들고 경제상황도 어렵다며 거부의사를 밝혀왔다.
〈송상근기자〉songmo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