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입장에서 이번 총회는 ‘IMF관리 체제’ 졸업을 사실상 확정짓는 회의다. 한국은 97년 12월 외환위기 때 IMF로부터 195억달러를 지원받아 이 가운데 135억달러를 상환했고 올 12월초 신용협약 기간이 만료되면 3년 만에 IMF관리 체제에서 공식적으로 벗어난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최근 잇달아 악재를 겪고 있는 한국 경제를 보는 국제 금융계의 시각을 파악하고 위기재발을 막는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수석대표인 진념(陳稔)재경부장관은 총회기간 중 북한의 IMF 가입에 대한 각국의 협조를 요청하고 북한의 경제재건에 국제 금융계의 참여를 부탁할 예정. 북한은 IMF로부터 특별 게스트 자격으로 초청받았지만 회의 준비가 덜 됐다는 이유로 막판에 참석을 포기했다.
28일까지 계속되는 총회의 핵심 의제는 국제금융체제의 강화와 IMF 개혁. 참석자들은 국제 금융질서를 교란하는 주범인 헤지펀드(투기성 국제단기자본)의 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가간 협력방안을 집중 논의한다.
IMF 스스로의 개혁도 의제. 출자분에 따라 표결권이 부여되는 현재의 의사결정 구조가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IMF는 유동성 위기에 빠진 국가에 구제금융을 지원하는 등 나름대로 긍정적인 역할을 했지만 표결권이 미국 등 몇몇 부자나라에 집중돼 회원국의 이해를 고르게 반영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프라하 총회는 자본주의를 실험중인 이른바 ‘체제전환국’에서 처음으로 열린다는 점에서도 관심을 끌고 있다. 인권 환경단체 등 세계 각국의 비정부기구(NGO) 회원들이 속속 프라하로 집결해 국가간 빈부격차 등을 규탄하는 대규모 시위를 계획중이다.
지난해 9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IMF 총회에서는 각국이 한국의 경제회복 성과를 높이 평가하면서 “축하한다”는 말을 건넸다. 불과 1년 뒤 다시 위기에 직면해있는 한국에 세계 각국은 어떤 말을 건넬지 주목된다.
<프라하〓박원재기자>parkw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