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옥(金允玉) 한국 정신대문제 대책협의회 공동대표는 “북―일 수교 협상에서 과거 한일수교 때처럼 경제협력 방식이 아니라 제대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남측도 압력을 넣겠다”고 말했다. 김대표는 “91년 위안부 문제 서울 토론회, 92년 평양 토론회에서 남북한 민간단체 관계자가 공동 참여한 이후 9년간에 걸쳐 위안부 문제에 공동 대처해 왔다”며 “이번 법정에서 남북한이 공동 기소한 것은 역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북한의 홍선옥(洪善玉) 군위안부 및 태평양전쟁 피해자보상 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일본이 조선반도를 강점한 동안 저지른 범죄에 대해 어떤 사죄나 보상도 없었다”며 “남북한은 일본에 대해 과거 범죄에 대한 대가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기소장 작성에 참여했던 조시현(趙時顯·성신여대)교수는 “남측은 가해자 개인 책임에, 북측은 일본 국가 책임에 집중해 기소장을 작성했다”며 “그러나 증거 수집 등에 어려움이 있어 당시 지위와 공개된 증거를 토대로 우선 8명만 기소했다”고 밝혔다.
북측의 정남용(鄭南龍)대책위원회 상임위원은 “이번 법정은 단순히 여론을 환기하는 모의법정이 아니며 향후 실정법에 의한 재판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며 “일본은 북한에 대해 전후 보상을 하지 않은 것은 물론 65년 한일수교 때 남측에 대해서도 경제 협력 형태만 있었지 사죄와 배상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도쿄〓이영이특파원>yes202@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