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타깝지만 황사 발생을 근본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황사의 발원지인 중국의 사막지대를 조림화하는 길밖에 없다고 한다. 중국인들이 수천년 동안 숱한 전쟁을 겪으면서 적에 대한 가시권 확보를 위해 벌채를 일삼아 온데다 최근에는 급격한 산업화 및 산림 개발로 인해 산림 황폐화가 가속화하고 있다. 사막화의 진전에 비례해 해마다 황사의 규모 또한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황사는 그 발생지인 중국에 가장 직접적인 피해를 주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도 무시 못할 피해지역이며, 나아가 그 피해는 미국에까지 미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4월 고비사막에서 발생한 황사가 1주일 후 태평양을 건너 미국 서해안에 도달함으로써 중국 황사가 미국 공기를 오염시킨다는 미 언론의 보도가 이어진 적도 있다. 이제 황사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중국의 노력만으로는 역부족인 만큼 인접 피해국가들의 협력과 지원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근년에 황사문제 해결을 위해 한중일 3국 관계자회담이 열리고는 있으나 황사를 자연현상으로 치부하며 주변국의 지원만을 바라는 중국측의 소극적 태도로 별반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제 우리 정부는 중국 및 일본과의 외교 협력 아래 중국의 조림사업에 보다 전향적이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겠다. 나아가 아직은 부분적인 피해를 보고 있으나 점차 황사의 피해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보이는 미국까지도 끌어들인다면 중국의 조림사업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엔환경계획(UNEP) 등 국제기구에 적극적인 개입을 요청하는 것도 정부가 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일본은 이미 지구환경기금과 오부치기금 등을 활용해 신장위구르자치구 지역에서 사막 녹화 사업을, 고비사막에서 방풍림조성 활동을 지원하는 등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고 한다. 우리 정부도 2000년 한중 정상회담에서 중국 서부지역 대개발사업 중 조림사업을 지원하기로 한 합의에 따라 지난해부터 5년 간 총 500만달러를 지원하고는 있으나 좀더 폭넓고 지속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금전적 지원만이 아닌 인력과 장비, 기술까지도 포함한 총체적 지원을 하면 어떨까 한다.
아울러 고비사막 주변 조림사업을 위한 국민운동도 필요하다. 시민사회단체와 민간전문가들이 포함된 종합대책기구가 구성돼 이 같은 운동을 벌일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중국 사막의 조림화는 황사 피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어서 그 효과는 수십년 후에나 나타날 것이다. 당장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일이기에 오히려 하루라도 빨리 추진해야 할 당위성을 갖는다.
이관우 공주대 교수·독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