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생명공학회사 어드밴스트 셀 테크놀러지의 로버트 랜저 박사는 암소의 복제배아로부터 추출해 배양한 초기형태의 신장과 심장을 복제배아의 DNA를 제공한 암소에 이식한 결과 아무런 거부반응을 보이지 않았다는 연구보고서를 과학전문지 ‘자연생명공학’ 최근호에 발표했다.
이는 환자가 자신의 체세포를 이용해 필요한 장기나 조직 또는 세포를 실험실에서 복제한 다음 이를 다시 자신에게 이식해 손상부위를 대체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획기적인 연구로 평가받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랜저 박사는 한 암소의 난자에서 핵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다른 암소로부터 채취한, 완전한 DNA를 갖춘 피부세포를 주입해 복제배아를 만든 다음 이를 대리모 암소의 자궁에 착상시켜 약 6주 동안 자라게 했다.
그 후 복제배아를 꺼내 그로부터 심장, 골격, 신장세포를 채취한 다음 시험관에서 더 자라게 한 다음 이 중 신장을 앞서 피부세포를 제공했던 암소에 이식했다. 이렇게 이식한 신장이 아무런 거부반응 없이 노폐물(소변)을 정상수준의 80%까지 걸러내면서 성장을 계속했다는 것. 보고서는 심장과 골격 이식 결과도 성공적이었다고 밝혔다.
샌프란시스코AP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