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기업의 세전 순익 규모가 5년 전 수준과 비슷한 점을 들어 증시가 앞으로 더 추락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S&P 500지수가 현 수준과 비슷했던 97년 2·4분기 당시 기업들의 세전 순익은 연간 환산기준으로 8260억달러였으며 지난 2·4분기 순익은 8280억달러였다는 것이 추가 하락의 근거다.
▼관련기사▼ |
▽무디스〓존 론스키 이코노미스트는 22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주가하락의 종착점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2000년 3월 미국 증시의 시장가치는 GDP의 148%였으나 이 수치는 GDP 대비 77%대까지 떨어졌으며 92년과 94년에는 65%선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97년 이전의 10년 동안은 증시가 GDP 성장률을 능가하면서 거품이 일었던 기간이었지만 97년 이후 기업실적은 나아진 게 없었다며 추가하락을 점쳤다.
▽리만 브러더스〓제프리 애플리게이트 이코노미스트는 S&P 500 지수의 연말 종가를 1,200에서 1,075로 하향조정했다. 다우공업평균지수도 11,500에서 10,250으로 내려 잡았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BOA) 증권〓토머스 맥매너스 애널리스트도 S&P 500 지수의 12개월 목표가를 1,150에서 1,000으로, 다우지수는 10,400에서 9,400으로 각각 내려 잡았다. 나스닥지수는 2,250에서 1,650으로 내려 잡았다.
▽컴버랜드 어드바이저스(투자자문사)〓데이비드 코톡 사장은 증시는 추가적인 하락을 경험해야 할 것이라면서 지수 반등은 다우공업평균지수가 7,600선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릴린치〓리처드 번스타인 투자전략가는 보유 현금 자산 가운데 주식 투자비중을 50% 수준으로 유지하라고 충고했다. 이는 다른 주요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의 권고치 68%에 비해 낮은 것이다.
곽민영기자 havefun@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