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9년부터 북한 적십자사와 일본 적십자사가 추진한 재일교포 북송사업에 따라 북한으로 간 재일교포는 9만5000명에 이르며 일부는 일본인 부인도 데려갔다.
일본 정부는 보다 구체적인 정보 수집에 주력하는 한편 해상보안청 순시선 등을 동원해 영해 경계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일본 정부는 그러나 북송 재일교포 탈북자들이 실제로 일본 재입국을 시도할 경우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의견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일부 관리들은 인도적 차원에서 이들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다른 관리들은 일반 난민처리법에 따라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이 일반 난민을 받아들인 경우는 극히 적으며 명확한 기준도 없는 상태다.
북송 재일교포 출신 탈북자는 ‘준(準)일본인’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실제로북송교포 출신의 한 북한 고위관리는 1999년 북한을 탈출해 중국에 있는 일본외교공관의 보호를 받다가 일본 정부의 도움으로 비밀리에 일본에 재입국한 것으로 최근 확인됐다.
한편 25일에는 1998년 북한을 탈출해 2000년 제3국을 경유해 한국으로 망명한 북송 재일교포 이창성(李昌成·60)씨가 일본 중의원에서 북송 재일교포들의 탈북실태를 밝히고 일본정부의 수용을 요청했다. 이씨는 국회내에서 열린 민주당의 ‘북한인도문제에 관한 민주당의원연맹’ 회의에 출석한 뒤 오후에는 중의원 안전보장위원회에 참고인으로 출석했다.
그는 최근 교도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송 재일교포 대부분은 북한에서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일본으로 돌아가고 싶어한다”고 밝힌 바 있다.
도쿄〓이영이특파원 yes202@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