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즈업]김일성大 학부-성균관大 석박사 마친 한메이 씨

  • 입력 2003년 2월 25일 18시 35분


코멘트
“남과 북의 대학에서 공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국문학을 비교연구하겠습니다.”

25일 성균관대에서 국문학 박사학위를 받는 중국인 한메이(韓梅·32·여·사진)는 북한 김일성종합대에서 조선어문학부를 졸업한 뒤 성균관대에서 국문학 석사, 박사학위를 받은 이례적인 경력을 쌓았다.

한씨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1989년 무렵 ‘한반도를 제대로 알기 위해’ 북한 김일성종합대로 국비유학을 떠났다.

“북한의 대학은 공동체가 강조되는 분위기입니다. 되도록 우리말을 사용하고 한자를 쓰지 않기 때문에 한문학은 별로 언급되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도 한문학을 국어로 번역한 교재로 수업을 했습니다. 민중문학, 실학자 등을 중시하고요.”

그가 떠올리는 김일성대의 특징은 똑똑한 여학생과 군복무를 마친 뒤 입학하는 나이 많은 남학생들이다.

“여학생의 경우 고등학교를 마친 후 성적 위주로 선발되지만, 남학생들은 군복무 성적 중심으로 뽑더군요. 다부진 여학생과 늦은 나이에 책임감을 갖고 공부하는 남학생들이 인상적이었습니다.”

4년 과정의 학부를 마치고 1994년 고국으로 돌아가 산둥(山東)대에서 한국어 강사로 근무하던 한씨는 남한 사회와 문학을 공부하기 위해 97년 8월부터 교환학생 자격으로 성균관대에서 국문학 석사학위 과정을 밟기 시작했다.

“한국의 대학은 개성이 중시된다는 걸 느꼈습니다. 문학 역시 다양성과 자유로움을 존중하는 특징이 있고요.”

한씨의 박사논문은 중국 명청시대 최초의 근대적 비평가로 평가되고 있는 진성탄(金聖嘆·1608∼1661)의 문학비평이 조선 후기 문단에 미친 영향에 관한 것.

산둥대 한국어학과 교수로 임용돼 다음 달 2일 중국으로 돌아가 남북의 언어와 문학을 가르치게 되는 한씨는 “앞으로 남북한과 중국의 문학이 활발하게 교류돼 사람들의 생각과 생활을 보다 다양하고 깊이 있게 만들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손효림기자 arysso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