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반전 시위대에 대한 체포와 구금, 괴롭힘이 일상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의 민주주의가 전쟁의 또다른 희생자로 부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반전 시위대 탄압 빈발=지난달 미 뉴욕주 알바니의 한 쇼핑몰에서는 '평화에 기회를 주자'고 적힌 T 셔츠를 벗는 것을 거부한 시민이 경찰에 체포됐다. 죄목은 쇼핑몰에 나쁜 이미지를 심었다는 '무단 침입죄'. 최근 WABC 방송의 우파 성향 토크쇼에서는 펜실베니아주 포코노스에서 '석유를 위한 전쟁 반대' 플랭카드를 들고 있던 한 노파가 '허가 받지 않았다'며 연행된 과정이 조롱거리로 소개됐다.
미 여성그룹 딕시 칙스의 최신 음반은 한 멤버가 반전 의사를 밝힌 직후 음반순위가 급락했다. 이들의 음반을 짓밟는 시위가 열렸을 정도. 텍사스 클리어 채널 커뮤니케이션 소속 라디오 방송은 이들의 음반 불매 운동을 선동했으며 전쟁 찬성 집회도 촉구했다. 이 방송사는 조지 W 부시 일가와 인연이 많다.
신문은 9·11 테러 이후 미 정부가 테러 방지 명분으로 도입한 애국법, 자유방어작전 등 각종 법제도가 이같은 분위기가 자라날 토양을 제공했다고 분석했다. 외국인 스파이를 막기 위해 도입된 '외국 정보 감시법'에 따른 지난해 감시 청구 횟수가 미 건국 이후 총 누적 횟수를 넘어섰다.
▽전쟁 찬성 여론도 주춤=그러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전쟁 지지 여론도 줄어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뉴욕 타임스는 27일 전쟁이 예상보다 어렵게 흘러가면서 부시 행정부가 여론 악화라는 정치적 도전을 받을지 모른다고 보도했다. 최근 갤럽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40%가 전쟁 사상자를 100명 이하까지만 감내할 수 있다고 답했다. 지금까지 전사자는 24명.
아메리칸 대학 역사학자 앨런 리트먼은 "전쟁이 미군 피해가 컸던 소말리아 전쟁과 비슷해져 가면서 전쟁 지지층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곽민영기자 havefun@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