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프로젝트]<5>伊 베네치아 섬 복원<하>

  • 입력 2003년 5월 29일 19시 26분


코멘트
2월 18일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공항에 도착했을 때는 밤12시 무렵이었다. 버스가 끊겨 베네치아 시내로 가는 택시를 탔다. 이곳의 택시는 모터보트다. 어두운 밤바다를 거침없이 질주한다. 바다에 수로등이 두 줄로 나 있어 길을 잃는 일은 없다.

이 바다는 길이 150km의 사주(沙洲·자연 모래제방)에 의해 아드리아해로부터 격리된 석호(潟湖)다. 베네치아만에 속하는 536km² 규모의 이 석호는 수심이 일정치 않으면서 얕다. 항해에 부적합하지만 그것이 베네치아라는 도시가 탄생한 이유였다. 도시라기보다는 요새로 시작됐다. 아드리아해로 나아가 약탈하거나 적을 무찌르고 이곳으로 들어오면 아무도 쫓아올 수 없었다. 수로는 중세 베네치아인만이 아는 비밀이었다.


'모세 프로젝트' 伊 베네치아 섬 복원

▶연재물 리스트로 바로가기

그렇게 해서 도시가 가장 생겨나지 않을 법한, 하늘이 인간이 아니라 자연에 준 늪지에 인류의 보석 같은 문명이 발달했다.

하늘의 섭리를 거스른 대가는 컸다. 베네치아인들은 그걸 아쿠아 알타(acqua alta)라고 부른다. 높은 조류(high water)를 일컫는 말이다.

아쿠아 알타는 1966년 11월 4일 사주를 타넘어 베네치아를 덮쳤다. 베네치아가 유실될 위기를 목격한 이탈리아 정부는 73년 특별법을 제정하고 “베네치아 보호는 국가의 최우선 이익에 부합한다”고 선언했다.

영국의 케임브리지대, 미국의 매사추세츠공대(MIT), 세계야생생물기금 등 세계 유수의 대학과 단체들도 달라붙어 베네치아를 아쿠아 알타로부터 보호하는 방안을 연구해왔다.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9월 14일부터 17일까지 케임브리지대 처칠 칼리지에서는 ‘베네치아와 석호에 대한 홍수와 환경의 도전’이라는 주제로 국제회의가 열린다.

이탈리아 정부가 베네치아의 석호를 연구하는 대학과 연구단체의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세운 코릴라(CORILA) 연구소의 제인 다 모스토 연구원은 “갈수록 베네치아 석호가 침수되는 횟수가 늘어나면서 천혜의 자연환경이자 북유럽과 아프리카를 잇는 철새의 도래지인 이곳을 보호하려는 노력이 국제적으로 펼쳐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베네치아인들은 아쿠아 알타에 대해 두 가지로 대응해 왔다. 하나는 도시를 떠나는 것. 16세기 20만명에 이르던 인구는 7만명으로 줄었다. 남은 사람들은 건물의 지층을 높여 물을 밀어냈다. 베네치아의 유적을 파보면 지표면 1.5m 아래에서 로마시대의 기와가 나온다. 그 만큼 물을 피해 건물 바닥을 높여 왔다는 뜻이다.

그러나 베네치아인들은 어느 순간 이 방법을 포기했다. 베네치아 공화국이 몰락한 1797년 이후 베네치아에서 증축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그 이후 이 섬은 1000여년 이상 저항해 왔던 자연의 섭리에 굴복하는 듯 보였다.

아쿠아 알타의 기세는 더욱 등등해졌다.

요즘 바닷물이 베네치아의 거리를 적시는 날은 연중 200일에 달한다. 20세기 초만 해도 이런 날은 불과 7일 정도였다. 1923년부터 1932년까지 10년간 아쿠아 알타가 베네치아를 110cm 이상 침수시킨 횟수는 5차례였지만 1993∼2002년에는 무려 50회를 넘었다.

특히 지난해 11월 15일부터 12월 6일까지 20일간 15회나 수면이 1m 이상 높아졌다.

14일 이탈리아 정부는 장장 30여년간의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모세(MOSE) 프로젝트를 결정했다.

모세 프로젝트는 조류가 밀려들어오는 입구를 이동식 장벽으로 가로막는 것이다. 바닷물은 말라모코, 치오기아 그리고 베니스영화제가 열리는 리도 섬에 있는 세 개의 출입구를 통해 드나든다.

이동식 장벽은 모두 78개의 관문으로 이뤄져 있는데 평시에는 바다 속에 가라앉아 있다가 바닷물의 수위가 1.1 m이상 높아지면 공기로 부양돼 바닷물을 가로막는다. 이 프로젝트는 앞으로 8년이 걸리며 26억달러(약 3조1000억원)가 소요된다.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는 나라가 네덜란드. 국토 절반의 해발고도가 해수면보다 낮은 네덜란드는 풍차로 물을 끌어올려 운하를 통해 바다로 물을 배출해 왔지만 파고가 높아지자 넘치는 물을 막기 위해 97년 이동식 장벽을 설치했다. 장벽은 7층 건물 높이고 길이는 에펠 탑을 뉘어 놓은 만큼 길다. 이 장벽 역시 평소에는 물 속에 가라앉아 있어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탈리아에서도 오랜 논의 끝에 81년 최초의 이동식 장벽이 설계됐지만 정치적 불안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란 때문에 그동안 유보돼 왔다.

세계야생생물기금의 이탈리아 지부는 “비용도 많이 들고 환경에도 해로운 기술적 도박”이라고 반대했다. 또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의 지구물리학자 파올로 피라졸리는 “20여년 전 설계된 모세 프로젝트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예상치를 반영하지 않아 수위가 더 올라갈 경우 제 기능을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의 환경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설치된 이탈리아 정부 산하 국제위원회의 위원이었던 장 메이 MIT 교수는 “모세 프로젝트로 앞으로 100년간은 홍수를 억제할 수 있으며 관문의 각도를 조절하면 더 높은 수위의 바닷물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66년 대홍수 이후 이탈리아 정부는 35번 이상 교체돼 일관된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지휘할 수석 엔지니어 알베르토 스초티는 “오랜 세월 수많은 아이디어를 연구해 왔지만 실제로 이뤄놓은 일은 없다”며 “우리는 지금 당장 뭔가를 해야 하고 아쿠아 알타가 들어오지 않도록 막는 것만이 최선의 대안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베네치아=홍은택기자 euntack@donga.com

▼모세 프로젝트는…▼

베네치아만은 긴 사주에 의해 아드리아해와 차단돼 있다. 사주 중간에 3개의 입구(inlet)가 나 있는데 바닷물이 드나드는 이 입구에 이동식 장벽을 설치하는 것이 모세(MOSE) 프로젝트다. 모세는 실험적 전기공학 모듈(Experimental Electromechanical Module)의 약어.

이동식 장벽은 모두 78개의 관문으로 이뤄져 있고 각 관문은 두께 3.6∼5m, 길이 18∼20m, 높이 22∼33m. 재질은 철이며 방수 처리돼 있다. 관문의 무게는 300∼400t. 이들 관문은 길이 800m(리도), 400m(말라모코), 380m(치오기아)의 입구 해저에 가라앉아 있다가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세워져 바닷물을 차단한다. 해수면이 110cm 이상 되면 작동하고 해수면이 이 이하로 내려가면 물을 채워 다시 내려가도록 설계됐다. 1년에 대략 3∼5차례, 한차례에 4∼5시간 물을 차단하면 충분히 홍수를 방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공중에서 촬영한 베네치아만의 바다. 바다와 석호를 가르는 기다란 사주를 따라 휴양지가 형성돼 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