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미국이 사실상 전담해온 거액의 재건비용을 줄이면서 이라크 전후 처리의 주도권은 계속 유지하려는 계산이 깔린 것이다. 갈수록 늘어나는 미군 희생자와 연간 수백억달러의 재건비용이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재선가도에 악재가 되고 있는 점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프랑스 독일 중국 러시아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들도 ‘유엔이 나서야 한다’는 미국측 제안에는 원칙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유엔 통제권의 범위 등 각론에서는 적지 않은 이견을 나타내 난산이 예상된다.
▽결의안 내용=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이 3일(현지시간) 공개한 유엔 안보리 결의안 초안은 이라크 헌정체제 수립을 위한 정치발전 계획과 일정, 그리고 이라크 주둔 다국적군 창설 계획 등이 골자.
또 안보리가 인도적 지원은 물론 이라크 경제 재건과 대표성 있는 정부를 위한 전국 및 지방 기구의 복원과 신설에 긴요한 역할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인접국에서 이라크로 테러범들과 무기 및 자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촉구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파월 장관은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외무장관과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에게 잇달아 전화를 걸어 결의안 초안을 설명하는 등 로비에 나섰다.
▽미국의 결의안 제의 배경=대선이 내년 11월로 바짝 다가온 가운데 사담 후세인 추종세력의 저항이 계속되고 미군 사상자가 속출하면서 부시 미 대통령이 ‘제2의 월남전’에 직면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3월 19일 개전 이후 미군 사망자는 286명, 부상자는 1124명에 이르는 등 상황은 악화일로다. 최근엔 거의 매일 사망자가 나오고 하루 평균 부상자도 10명에 달한다.
점령 및 재건 비용도 내년에는 연방예산의 2.7%, 국방비의 15.4%에 해당하는 60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치까지 나오고 있다. 사상 최대의 재정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부시 행정부로서는 재선 가도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각국 반응=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과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는 4일 정상회담을 갖고 유엔주도하의 이라크 재건이라는 총론에는 공감하면서도 미측 결의안 초안이 기대에 못 미친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세르게이 이바노프 러시아 국방장관도 4일 러시아 군 파견을 시사했다. 그러나 그는 “그 여부는 국제사회의 협력 정도와, 국제법이 이라크에서 얼마나 존중되느냐에 달려 있다”며 단서를 달았다.
다른 반전축 국가들도 극도로 불안해진 이라크 내 정정과 국내 여론 탓에 쉽게 군대 파병을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이 유엔 다국적군에 참여하는 국가들에 얼마만큼의 ‘반대급부’를 주느냐가 유엔 참여의 성패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전쟁 전 이라크 석유자원 채굴계약을 맺었던 프랑스 러시아 등은 미국의 ‘독주’를 은연중 비판해왔다.
워싱턴=권순택특파원 maypole@donga.com
박래정기자 ecopark@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