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회의는 일본 정부가 ‘빈곤과 분쟁에 시달리는 아프리카 국가에 자력갱생의 길을 찾아주자’는 취지로 1993년부터 5년에 한 번씩 여는 행사. 형식적으로는 국제기구와 함께 개최하지만 의제 설정에서 행사 진행, 경비 부담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일본 정부가 책임진다.
아프리카 국가들로서는 막강한 경제력을 배경으로 ‘큰손’의 원조를 하는 일본 자금을 끌어들이기 위해 만사 제쳐두고 달려와야 할 처지. 초청받은 50개국 중 리비아를 제외한 49개국이 대표를 파견했고 나이지리아 가나 카메룬 콩고 등 23개국은 대통령 또는 총리가 직접 참석했다.
일본 정부는 ‘돈만 많은 나라’에서 아프리카 빈국의 애로사항을 챙기는 ‘대국’의 이미지를 과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흐뭇해하는 표정이다.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관방장관은 “일본에 이렇게 많은 나라의 정상이 집결한 것은 아마 처음일 것”이라며 “아프리카 문제는 전 인류의 숙제이기도 한 만큼 일본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는 숙원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 되려면 유엔 전체 회원국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하는 아프리카와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는 29일 개막식에서 앞으로 5년간 10억달러를 아프리카 각국에 무상 지원하고 정부개발원조(ODA)를 통해 병원과 학교 건립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28일 하루에만 19개국 정상들과 15∼30분씩 시간을 쪼개 개별 정상회담을 가졌다.
아프리카 정상들은 “국제공헌도를 감안할 때 일본은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될 자격이 있다”고 한목소리를 내 일본의 기대에 부응했다.
도쿄=박원재특파원 parkwj@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