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이미지를 개선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6일 오전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는 이 같은 주제를 놓고 ‘국가 이미지 제고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국내 인사뿐 아니라 프랑스 영국 스페인 미국 등 주한 각국 문화원장 등 100여명이 참석해 토론을 벌였다. 국가이미지위원회 주관, 한국이미지커뮤니케이션연구원(이사장 최정화) 등 후원.
이날 쇼바 포나파 영국문화원장은 한국 홍보에 참고될 만한 영국문화원 활동을 소개하면서 그 활동이 늘 성공적인 것은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1997∼98년 영국 정부 주도로 추진된 ‘쿨 브리태니커(Cool Britannica)’ 프로젝트의 경우 ‘멋있고 젊은 영국’의 이미지를 홍보하기 위해 마련됐으나 대중음악 패션 미술 분야에 비해 과학기술과 공산품 분야에선 별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것. 포나파 원장은 “국가 이미지 개선 작업은 생산품이나 서비스의 실제 발전과도 밀접하게 연결돼야 한다는 사실을 이때 배웠다”고 말했다.
파트릭 모뤼스 프랑스문화원장은 “전통문화뿐 아니라 동시대의 예술인들을 외국에 알리는 데 관심을 쏟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프랑스문화원의 경우 6월 ‘랑데부 드 서울(Rendezvous de Seoul)’이란 행사를 열어 프랑스의 디지털 아트와 재즈 등을 한국에 소개한 바 있다.
미국의 경우 9·11테러와 이라크전 이후 실추된 국가 이미지 회복을 위해 각국 도서관에 ‘아메리카 코너’를 설치해 미국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책들을 비치키로 했다고 모린 E 코맥 주한 미대사관 공보관은 밝혔다. 이를 위해 해당 분야 책들을 외국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
우베 슈멜터 독일문화원장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일의 이미지는 정부와 국민의 노력으로 크게 나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람들은 베토벤과 히틀러를 함께 떠올린다”고 말했다. 그만큼 한 국가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날 유홍준 명지대 교수 등 토론자들은 국내 문화재보호법 때문에 삼국시대 토기가 대영박물관에 전시되지 못하는 점이나 영어로 된 한국미술사 책이 한 권도 없는 현실 등을 지적하고 국가이미지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조경복기자 kathycho@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