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위대의 대사관 경비 논란=가와구치 요리코(川口順子) 일본 외상은 2일 현지 공관의 안전을 확보하려면 자위대원들이 경비를 맡아줘야 한다고 말했다. 바그다드의 일본대사관은 지난달 중순의 발포사건 이후 20∼30명이던 현지채용 경호원을 50명으로 늘렸지만 급박한 상황을 감안할 때 전투 능력이 있는 군 병력의 배치가 시급하다는 것.
그는 “바그다드에서는 거의 모든 대사관이 자국의 군 또는 특수경찰에 경비를 맡기고 있으며 국가에 따라서는 대사관원 수를 웃도는 경비인력을 두고 있다”며 법을 고쳐서라도 자위대를 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는 “해외공관 경비는 주재국이 책임을 지는 게 원칙”이라며 “실현되기는 꽤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자위대의 해외교전권을 인정하지 않는 헌법 조항에 저촉될 뿐 아니라 정당방위와 긴급피난으로 국한된 무기사용 기준을 확대하는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
그러나 자위대 역할 확대는 집권 자민당도 내심 원하는 바여서 자위대의 대사관 경비가 실현될 가능성은 충분하다.
▽자위대의 파병 모범답안=자위대가 파병될 경우 희생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여론이 확산되자 자위대측은 파병 관련 질문에 대한 모범답안을 만들어 병사들에게 배포하고 있다.
가가와(香川)현에 본부를 둔 육상자위대 제2혼성단은 기자가 파병을 앞둔 심정을 물을 경우 ‘불안하지 않다. 평소 훈련을 열심히 하면 문제없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하라고 지시했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이 부대는 이라크 파견과 관련한 취재대응 요령 6개항을 만들어 예하부대에 내려 보냈다.
한편 자위대는 대령급을 현지 파병 부대의 지휘관으로 임명했으며 일부 병력은 이미 홋카이도(北海道)에서 훈련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파병 불가피” 대세=자민당은 외교 및 국방부 합동회의에서 자위대를 이라크에 파견키로 한 정부 방침을 거듭 확인했다. 일부 의원들이 “파견만을 전제로 할 것이 아니라 보내지 않는 방안까지 포함해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파병불가피론이 대세를 이뤘다.
일본 언론은 이르면 9일 각의에서 자위대 파병 기본계획을 의결한 뒤 해를 넘기기 전에 방위청 장관이 파견명령을 내릴 것이라고 보도했다.
파견 시기는 정하지 않더라도 파견 명령을 연내에 하는 것으로 미국측에 성의를 표시한다는 복안이라는 것이다.
도쿄=박원재특파원 parkwj@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