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대만에서 입국하는 모든 여행객은 발열(發熱)증세를 점검하기 위해 열감지카메라를 통과하고 사스 검역 설문을 작성해야 하는 등 특별방역이 실시된다.
김문식(金文湜) 국립보건원장은 18일 "대만 당국이 사스환자의 가족과 직장동료 등 접촉자들을 추적 조사한 결과 추가적인 의심 증상자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이 환자가 싱가포르를 방문했을 때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이었기 때문에 2차 전파는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보건원은 이날 전국 13개 검역소에 사스 검역을 강화하라는 내용의 지침을 시달했다.
보건원은 대만과 싱가포르 등이 사스 감시체계를 해제할 때까지 대만 입국자에 대한 발열 감시 등 검역 강화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현재 대만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승객은 하루 평균 1200명 정도다.
방역당국의 사스 단계별 조치상황은 해외에 사스환자가 발생할 경우 1단계로 '사스주의보'가 발령되고, 사스환자의 국내 유입이 확인되면 2단계인 '사스경보'가 내려진다. 또 사스 환자가 국내에 2차로 전파돼 집단 환자가 발생하면 3단계인 '사스비상사태'가 발령된다.
한편 김화중(金花中)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사스와 푸젠 A형 독감 등에 대한 방역을 철저히 하고 있는 만큼 국민은 불안해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현재 국내에서 사스와 푸젠 A형 독감, 인플루엔자, 조류독감 등 4개 호흡기전염병이 동시에 문제되고 있지만 의료기관 감시체계와 예방접종 등이 이미 상당부분 이루어져 이들 질환이 확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원기자 daviskim@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