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케임브리지대서 ‘막스 베버…’ 낸 김성호 교수

  • 입력 2004년 7월 4일 18시 13분


김성호 교수. 그는 현대사상의 고전이 된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토대로 베버를 독일 국가주의자에서 시민사회의 자유주의자로 복원시켰다.-김미옥기자
김성호 교수. 그는 현대사상의 고전이 된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토대로 베버를 독일 국가주의자에서 시민사회의 자유주의자로 복원시켰다.-김미옥기자
김성호 연세대 교수(38·서양근대정치사상)가 최근 영국 케임브리지대 출판부에서 영문 저서 ‘막스 베버의 시민사회론(Max Weber's Politics of Civil Society)’을 펴냈다.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케임브리지대 출판부에서 한국학자의 저서가 발간되는 것은 드문 일.

김 교수는 이 책에서 올해로 출간 100주년을 맞는 베버의 명저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토대로 베버의 사상을 재조명했다. 김 교수는 베버가 이 저서에서 시민사회의 다양성과 자발성, 자율적 시민교육을 중시하는 ‘근대 시민사회의 인간 원형’을 제시했다고 분석했다.

“막스 베버의 사상을 독일 국가주의의 맥락에서 해석해 학계의 주류가 된 볼프강 몸젠의 이른바 ‘몸젠 테제’(1959년)를 반박했습니다. 시민사회의 개념으로 베버를 재해석했다는 점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 같아요.”

이 책의 저본(底本)이 된 김 교수의 시카고대 박사학위 논문 ‘분파적 인간에 관하여:막스 베버의 근대적 자아와 시민사회’는 1997년 발표 당시 미국 정치학회가 최근 2년간 박사학위논문 중 최고의 논문을 선정해 수여하는 레오 스트라우스상을 받기도 했다.

케임브리지대 출판부에서 발간이 결정될 때 심사를 맡았던 하비 골드만 교수(미국 캘리포니아대·정치학)는 이 책에 대해 “베버가 토크빌적 자유주의의 진정한 후예라는 것을 논증함으로써 베버의 정치사상에 관한 이제까지의 모든 해석을 송두리째 바꿔 놓았다”고 평가했다.

김 교수는 막스 베버에게서 한국사회가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시민사회의 일상적 삶 속에서 다양하고 자율적인 개인들이 건전한 시민을 재생산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답했다.

김 교수는 올해 말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리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출간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에 발표자로 참가할 예정이다.

김형찬기자 khc@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