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단위 변경]日 “위신보다 실리”…100엔≒1달러 고수

  • 입력 2004년 9월 17일 18시 42분


2002년 일본의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4조3240억달러로 세계 2위. GNI는 한 나라의 국민이 일정기간 생산 활동에 참여해 벌어들인 소득의 합계로 그 나라의 경제규모를 보여준다.

일본의 경제규모는 외형상 한국(5430억달러)의 8배에 가깝다. 하지만 지금도 달러의 약 100분의 1 수준의 화폐 단위인 엔을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도 화폐단위 변경(리디노미네이션) 논란이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화폐단위 변경을 처음 거론한 것은 1959년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 이후 최근까지도 정부와 집권당 안에서 심심찮게 등장했다 사라지는 단골 메뉴였다.

찬성하는 사람들은 ‘엔의 위신’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신중론자들은 경제에 악영향을 준다는 이유로 기피했다.

이 문제가 본격 부각된 것은 1998년. 당시 집권 자민당은 1999년 유로 출범과 관련해 엔화가치를 방어하기 위해서는 엔의 명목가치를 100분의 1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결정권을 가진 대장성(현 재무성)과 일본은행은 △경기자극 효과는 기대하기 힘든 반면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고 △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크다는 이유로 강력히 반대했다.

금융전문가들은 일본 내의 논란과 상관없이 일본의 경제력에 더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 함상문(咸祥文) 연구위원은 “파이낸셜타임스(FT)나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세계 유력 경제지를 보면 ‘1엔당 몇 달러’가 아닌 ‘100엔당 몇 달러’로 표기된다”며 “이는 일본의 경제력이 그만큼 크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한국도 경제력이 커지면 국제 사회에서 이 같은 대접을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차지완기자 ch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