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개국은 성명을 통해 “CTBT가 발효되려면 미국 중국 등 44개국의 추가 비준이 필요하다”며 “핵무기 관련 물질 기술 지식의 확산을 막는 데 이 협약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일본 유럽연합(EU) 등과 함께 모임을 발의한 에르키 투오미오야 핀란드 외무장관은 “CTBT가 발효되지 못하면 대량살상무기, 특히 핵무기가 테러범들의 손에 들어갈 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가와구치 요리코(川口順子) 일본 외상도 “핵무기의 피해를 직접 겪은 국가로서 이 무기의 위험성을 너무나 잘 안다”면서 CTBT 발효를 위해 모든 국가가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미국은 1992년 이후 핵실험을 동결했지만 보유 핵무기를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핵실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CTBT가 ‘불량국가’들의 핵무기 획득을 억제하는 데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라며 협약을 비준하지 않고 있다. 모든 형태의 핵실험을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CTBT는 1996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돼 현재 172개국이 서명했고 이 중 115개국이 비준했다.
뉴욕=홍권희특파원konihong@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