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건국이념과는 반대로 출생신분에 의해 운명이 결정되는 신분제 사회로 변질돼 가고 있다고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데이비드 브룩스(사진)가 25일자 칼럼에서 지적했다. 다음은 요약.
부유한 학부모들은 자녀를 잘 교육시켜 일류 대학에 보낸다. 이들 자녀는 성인이 되면 또 다른 부유층을 형성한다. 반면 중산층 이하 가정의 자녀들은 부유층 자녀와 경쟁하기가 힘들어져 사회적 신분 이동의 기회는 갈수록 제약받고 있다.
집권 2기를 맞은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이 문제 해결에 역점을 둬야 한다. 미국은 사회계층이 분열돼 있고 덜 개방적인 유럽에 비해서도 사회적 이동성이라는 점에서 더 나을 것이 없다.
아버지와 자식 간, 또 형제 간 소득의 상관관계가 몇 년 전보다 훨씬 더 커졌다. 출신이 한 사람의 운명을 좌우할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는 의미다.
명문 하버드대 신입생 가정의 연간소득 중간 값은 15만 달러(약 1억5500만 원)에 이른다. 교육을 잘 받은 중상층이 자녀에게 좋은 교육을 물려줘 ‘세습된 능력 계층(hereditary meritocratic class)’이 생겨났다.
이런 상황에서 중산층 자녀는 잘 교육받은 상류층 출신을 당해낼 수 없다. 하물며 빈민층 아이들은 말할 것도 없다.
부시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소유자 사회(Ownership Society)’를 강조했다. 주택이나 보험 소유는 단편적인 문제일 뿐이다. 더 큰 주제는 에이브러햄 링컨 전 대통령이 지적한 대로 ‘모든 이가 인생의 경주에서 경쟁을 벌일 수 있도록 열린 공간과 공정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이념이다.
부시 대통령은 링컨 전 대통령이 추구했던 목표가 사회적 이동의 확대였음을 명심해야 한다.
뉴욕=홍권희 특파원 konihong@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