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판 마셜플랜’…G7회담 주의제 결정

  • 입력 2005년 2월 3일 18시 00분


절대 빈곤에 시달리고 있는 아프리카를 돕기 위한 ‘제2의 마셜 플랜’이 구체화되고 있다.

영국이 주도해 2015년까지 아프리카의 빈곤을 절반으로 줄이자는 게 목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도 이에 동의했다. 미국이 동참하면 이 계획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유럽이 앞장=아프리카 지원 문제는 4일부터 이틀간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선진 7개국(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담의 주요 의제로 설정됐다.

파이낸셜타임스는 3일 “영국의 고든 브라운 재무장관은 국제금융기구(IFF)를 설립해 빈곤 국가를 돕자는 계획을 이번 G7회담에서 구체화할 예정”이라며 “G7회담에서 부자나라의 아프리카 지원이 진전을 볼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보도했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미국 국무장관이었던 조지 마셜이 ‘마셜 플랜’을 내건 것과 같이 ‘아프리카판 마셜 플랜’은 영국의 토니 블레어 총리와 브라운 재무장관이 주도하고 있다.

아프리카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는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도 이 프로젝트 성사를 위해 영국을 방문, G7의 재무장관을 잇달아 만났다.

▽미국의 동참 여부가 열쇠=제2의 마셜 플랜은 G7이 국채를 발행해 국제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 각국 정부가 지급 보증하는 채권 발행을 통해 국제 자금시장에서 유리한 조건으로 돈을 조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이 신문은 내다봤다.

빈곤 국가에 지원될 자금은 갚아야 할 대여금이 아니라 순수한 지원금이라는 성격도 분명히 했다.

이 프로젝트 성공의 최대 변수는 미국의 동참 여부다.

재정과 무역에서 쌍둥이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미국은 그동안 빈곤 국가 지원에 ‘조건부 지원’ 방식을 내걸었다.

미국 의회는 “빈곤 국가의 부패에 세금이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면서 빈곤 국가가 지원을 받으려면 정치 경제 분야의 개혁을 먼저 보여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김동원 기자 daviskim@donga.com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