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가정보국장(DNI)으로 지명된 존 네그로폰테(사진) 전 이라크 주재 대사는 다음 달 12일로 예정된 상원 인준청문회에서 또다시 이런 질문에 시달려야 할 것 같다. 조지 W 부시 행정부 2기 출범과 함께 신설된 자리인 DNI는 중앙정보국(CIA) 등 15개 정보기관을 지휘 감독하는 사령탑.
네그로폰테 DNI 내정자가 이런 시비에 휩싸인 것은 처음이 아니다. 2001년 유엔 대사로 지명됐을 때도, 지난해 6월 이라크 대사로 임명됐을 때도 그에겐 같은 시비가 뒤따랐다.
온두라스 대사로 있던 20년 전의 ‘과거’ 때문이다. 그가 대사 시절 우익 콘트라 반군의 좌익정부 전복을 지원하면서 인명 학살과 인권 유린을 묵인했다는 비난도 있지만, 중앙아메리카의 공산주의 확산을 막는 어려운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는 옹호론도 많다.
온두라스 출신의 인권운동가 제나이다 벨라스케스 씨는 그의 ‘어두운 면’을 집요하게 물고 늘어졌다. 벨라스케스 씨는 1983년 미국의 지원을 받던 온두라스군에 납치된 오빠를 비롯한 실종자 수십 명의 소재 파악을 당시 네그로폰테 대사에게 부탁했지만 “온두라스군에는 이른바 납치를 자행한 ‘죽음의 분대’라는 것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답변만 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제라도 네그로폰테 내정자가 ‘죽음의 분대’의 실재와 인권탄압에 대한 자신의 묵인을 시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식 기자 spear@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