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2001년 일본 측에 수정을 요청한 왜곡 대목이 거의 그대로 남아 있다.
일본 문부성도 지나치다고 판단해 후소샤에 수정을 지시한 124개 항목 중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왜구(倭寇)=16세기 왜구의 약탈 행위에 관해 기술하며 “구성원 대부분은 중국인이었다”고 기술했다. 역사적으로 일본을 지칭해 온 ‘왜’란 말의 뜻마저 부인한 것. 일본의 약탈 행위를 은폐하기 위해 ‘왜구’ 구성원에 한사코 한국인과 중국인을 넣으려는 의도다.
▽배일 운동=1920년대 일본 군국주의의 대륙 침략 야욕이 노골화되자 중국인 사이에서 항일운동이 일어났다. 후소샤 교과서는 이런 시대 상황을 무시하고 일제 불매운동, 일본인 피습 등 일본 측 피해만 강조했다. 일본 측 피해만 강조한 내용은 이 밖에도 제2차 세계대전 중 연합군의 도쿄 공습, 원자폭탄 투하, 일본인 포로의 시베리아 억류 등 한두 가지가 아니다.
▽21개조 요구=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일본은 영일(英日)동맹을 내세워 독일 영향력 아래 있던 중국 칭다오(靑島)를 점령했다. 국제사회가 철수 압력을 넣자 중국에 산둥(山東) 철도부설권 할양 등 21개 요구 조건을 철수조건으로 제시했다. 후소샤 역사교과서는 21개조가 강압적 요구가 아니라 ‘희망사항’이었으며, 중국이 조건 내용을 비밀로 하자고 해놓고 어겼다는 지엽말단만 강조하고 있다.
▽만주국=일본이 1932년 세워진 만주국을 적극 도와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기술이 있다. 당시 만주국을 실제 통치한 것은 일본군이었으며 만철(滿鐵) 등 일부 일본기업이 만주국 경제를 장악했다. 민중의 경제생활에 기여한 것이 아니라 이후 중국 침략전쟁에 기여한 실상을 감추려 한 것이다.
▽중일전쟁=후소샤 교과서는 1937년 7월 7일 베이징 교외 루거우차오(蘆溝橋) 부근에서 일어난 중일 양군의 충돌 사건, 이른바 ‘루거우차오 사건’ 책임을 전적으로 중국에 떠넘기고 있다. 현지 양군 관계자들이 휴전에 합의했음에도 일제는 나흘 뒤 ‘중국 측의 계획적 도발’이라며 3개 사단을 증파해 본격적인 중국 침략에 나선다. 일본 측의 침략전쟁을 정당화하고 있다.
▽난징학살=1937년 12월 난징(南京)을 점령한 일본군은 6주간에 걸쳐 중국인 군인 포로와 일반시민 등 20만여 명을 학살했다. 전후 극동 군사재판부도 매장된 시신만 15만여 구라고 인정했다. 그러나 후소샤 교과서는 희생자 수에 대한 논란을 거론하면서 학살 사실에 의문을 갖도록 유도하고 있다.
▽기타=일제는 1940년 3월 난징에 허수아비 정권을 만들었다. 그러나 일본 역사교과서는 마치 중국인들이 국민당 정부에 대항해 이 정권을 만든 것처럼 왜곡하고 있다. 1943년 일제는 아시아 침략을 합리화하기 위해 대동아회의를 개최했는데 이때 난징정부는 ‘중국 대표’란 이름으로 참가했다는 것이다. 교과서는 또 대동아회의 결과 버마(현 미얀마)와 필리핀이 독립했으며 인도 임시정부를 일본이 승인했다고 기술했다. 아시아 침략전쟁이 아니라 ‘식민지 해방전쟁’이었다는 강변이다.
후소샤판 역사교과서의 중국 관련 왜곡 | |
쟁점 | 수정 왜곡된 내용 |
왜구 | 16세기 중엽 다시 왜구가 극성을 부렸는데 왜구 대부분은 사실 중국인이었다. |
1920년대 배일운동 | 일본 상품 불매와 일본인 습격 등 배일운동이 활발. |
21개 사항 요구 | 중국 측은 비밀로 하기로 한 요구 사항(희망조항) 내용을 열강의 개입을 기대하며 국내외에 알려. |
만주국 | 만주국은 일본의 중공업 진출 등에 따라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
난징학살 | 희생자 수 등 실태에 관해 자료상 의문점도 있고 다양한 해석이 있어 오늘날까지 논쟁 중. |
난징정부 | 난징정부는 충칭 국민당 정권에 대항해 설립됐으며 일본에 협조적이었다. |
대동아회의(1943년) | 일본은 버마 필리핀을 독립시키고 인도 임시정부를 승인했다. |
자료: 문부과학성 중학교용 역사교과서 수정표 |
도쿄=조헌주 특파원 hanscho@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