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부의 내용=이번에 확인된 명부에 따르면 강제 연행된 한국인 징용자들은 대부분 위험한 갱 내 작업에 집중 투입됐던 까닭에 주로 발파사고, 낙반, 가스중독 등 안전사고로 숨졌다. 부상 후 치료를 받지 못해 병사한 경우, 도망치다 붙잡혀 살해된 경우, 학대 끝에 피살된 경우도 있었다. 사망 당시 나이는 대부분 20대와 30대였으나 10대와 40대도 적지 않아 일제의 무차별 연행 실태를 짐작케 한다.
탄광 징용자들 중에는 장시간의 중노동 속에 가혹한 대우를 받다 못해 목숨을 걸고 탈주하는 사람이 속출했다. 후쿠오카 내 41개 탄광에 배치된 한국인 징용자 11만3000여 명 가운데 탈주자가 51.7%라는 일본 경찰의 보고서가 이를 웅변한다.
광업소별 징용자 배치 실태를 보면 미쓰비시(三菱)광업이 1만7105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메이지(明治)광업 1만681명, 가이지마(貝島)광업 1만255명, 미쓰이(三井)광업 1만98명, 스미토모(住友)광업 8916명, 후루카와(古川)광업 8892명, 아소광업 7996명 등의 순이었다.
일본 경제의 중심에 아직도 군림하고 있는 대기업들과 역사 망언을 되풀이해 온 아소 다로(麻生太郞) 총무상 집안의 기업도 눈길을 끈다.
그러나 이들 희생자 765명의 유골이 현재 어딘가에 봉안돼 있는지는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자료의 은폐=명부 작성에 헌신해 온 고교 교사 다케우치 야스토(竹內康人) 씨는 “아직까지 피해자 소식을 몰라 애태우는 유족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 징용 실태의 진상 조사에 기초 자료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공개 배경을 밝혔다.
연구자들은 “패전 후 상당수 자료가 폐기됐으나 일부 운 좋게 남겨진 자료를 구할 수 있었다”면서 “한국인 징용자의 피해를 축소한 사실이 역력히 드러났다”고 입을 모았다.
가령 고쿠라(小倉)광업소에서 1940년 5월 25일 갱 함몰사고로 숨진 40명 중 30명이 한국인이었으나 경찰 보고는 ‘사망자 0명’. 또 후루카와광업 샤카노오(目尾)탄광의 한국인 희생자는 18명이라고 기록돼 있지만 1992년 골프장 공사 때 탄광 부근의 한국인 묘지에서 무려 234명의 유골이 발견됐다.
조사단의 홍상진 국장은 “일본 정부가 징용자와 희생자에 관한 자료는 공개하지 않으면서 미반환 유골을 조사하는 것은 잔꾀”라고 비판했다. 행정관청과 법원, 병원 등지에 남겨진 희생자 자료의 조사와 유골이 보관된 탄광지대 사찰을 상대로 한 실태조사가 급선무라는 것이다.
▶후쿠오카 징용 사망 한국인 765명의 명부 다운받기(엑셀파일)
도쿄=조헌주 특파원 hanscho@donga.com
후쿠오카 현 미쓰이(三井)탄광의 희생자들 | ||||
당시 이름 | 본적 | 생년월일 | 배치일자 | 사망일자 |
新井 聖秀 | 경남 밀양군 삼랑진면 우곡리440 | - | - | 1941. 5 |
金本 允守 | 경북 의성군 단촌면 관덕동 | - | - | 1942. 6 |
長岡 碩伊 | 경북 안동군 안동읍 옥동1168 | - | - | 1942. 9 |
淸原 觀榮 | 경북 의성군 단북면 자추동 | - | - | 1942.10 |
金田 鐘淳 | 충북 충주군 소태면 덕은리 | 1924. 3.24 | 1942. 9. 9 | 1942.12.19 |
山本 文業 | 강원 양양군 죽목면 흠암진리 | 1921. 2.10 | 1943. 6.30 | 1943. 7. 9 |
金連守 | 경남 남해군 창선면 오용리 | 1916. 1.26 | 1943. 4.17 | 1943. 8.26 |
永川 根變 | 황해 황주군 도치면 금송리123 | 1921.11. 3 | 1943. 4.17 | 1943. 6. 5 |
國川 吉童 | 경기 이천군 대월면 장평리 | 1914.10. 3 | 1943. 4.21 | 1943. 9.21 |
崔文出 | 경북 청도군 청도면 원정동 | 1906. 1. 2 | 1943. 8.25 | 1943. 2. 5 |
西村 正燉 | 충남 보령군 천북면 하만리 | 1914. 9.20 | 1942.11.22 | 1943. 8.21 |
上村 吉太郞 | 함남 덕원군 부내면 영등리 | 1901. 4.12 | 1943. 8.13 | 1944.11. 9 |
山本 培玉 | 충남 아산군 염기면 강청리 | 1916.11. 3 | 1942. 2. 4 | 1944. 4.19 |
延田 英鐘 | 경기 수원군 정남면 내리88 | 1922. 4.15 | 1943. 9.21 | 1944.10.27 |
吳山 且碩 | 경남 의령군 대의면 천곡리 | 1919. 3.13 | 1944. 1.25 | 1944. 7.15 |
李自 斤同 | 경기 광주군 오포면 신현리 | 1912. 1.20 | 1944. 4. 7 | 1944. 9.11 |
鄭本 寅守 | 전북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 | 1917. 3. 9 | 1944. 8.30 | 1944.12.15 |
金元 福万 | 충남 보령군 청류면 성연리 | 1921. 6.10 | 1942.11.22 | 1944. 2.27 |
平本 仁得 | 경기 파주군 조리면 장곡리170 | - | - | 1944.11.22 |
安富 永集 | 경기 장단군 소남면 두곡리112 | - | - | 1944. 9.16 |
山下 大儀 | 경기 용인군 기흥면 농서리204 | - | - | 1944. 9.16 |
柳壽榮 | 경기 수원군 정남면 보도리 | - | - | 1944. 7.30 |
金卯出 | 경기 양평군 지양면 수곡리 | 1911. 9.15 | 1942.12.22 | 1945. 5.22 |
張基赫 | 경기 가평군 가평면 안리 | 1912.10.18 | 1942.12.22 | 1945. 1.13 |
李龍鳳 | 황해 재령군 남종면 방성리 | 1921. 4. 8 | 1943. 4.17 | 1945. 4.27 |
山佳 泰國 | 경기 화성군 동탄면 반송리56 | 1907. 9.23 | 1943. 9. 3 | 1945. 4. 1 |
和山 忠善 | 경기 수원군 마도면 청원리25 | 1922. 6.11 | 1943. 9. 3 | 1945. 5. 2 |
河田 喆裕 | 경기 수원군 남양면 송림리411 | 1920.10.15 | 1943. 9.21 | 1945. 7.14 |
山本 喜錫 | 경기 수원군 남양면 장덕리312 | 1913.12.22 | 1943. 9.21 | 1945.10. 4 |
李寅奉 | 경기 수원군 향남면 발안리130 | 1899. 8.25 | 1943. 9.21 | 1945. 7.14 |
朴鐘洛 | 경기 수원군 향남면 상신리 | 1918. 4. 2 | 1943. 9.21 | 1945. 8.6 |
木本 鳳緖 | 충남 대덕군 유천면 내하리 | 1910. 6. 4 | 1944. 7. 9 | 1945. 6.21 |
小林 炫善 | 경남 남해군 남해면 평현리 | 1924. 1. 6 | 1944. 8.30 | 1945. 2. 6 |
松川 鐘學 | 경기 수원군 오산면 원리320 | - | - | 1945. 2.22 |
岩村 林 | 경기 장단군 대강면 근리 | - | - | 1945. 4.16 |
新井 命錫 | 경기 장단군 소남면 유덕리186 | - | - | 1945. 5.30 |
金井 河源 | 경기 장단군 소남면 자작리 | - | - | 1945. 6. 7 |
金日東 | 충남 부여군 석성면 정각리 | - | - | 1945. 7.26 |
宮本 板俊 | 충남 아산군 선업면 궁평리 | 1924.11. 7 | 1942. 2. 4 | 1945. 8. 2 |
金海 貴福 | 충남 아산군 음봉면 월랑리 | 1914. 3.24 | 1942. 2. 4 | 1945. 8. 7 |
尹錫吉 | 황해 서흥군 용평면 봉하리 | - | 1943. 4.17 | 1943. 7. 8 |
山本 正國 | 서울 용두동 | 1905.11. 9 | 1943. 4.17 | 1943. 5.24 |
簡錫麟 | 강원 횡성군 서원면 분리 | 1907. 8.10 | 1943. 4.21 | 1945. 8. 7 |
平田 壽根 | 경기 수원군 향남면 관리 | 1923. 3.28 | 1943. 9.21 | 1945. 1.23 |
朴聖俊 | 충남 홍성군 광천면 신진리 | 1904. 4.24 | 1944. 6. 9 | 1945. 8.17 |
大原 載熙 | 전남 장성군 안계면 | 1919.11.22 | 1944. 6. 9 | 1944.12.22 |
高島 光業 | 전북 장수군 천천면 오봉리 | 1920. 3.14 | 1944. 8.30 | 1945. 8. 7 |
柳井 漢圭 | 전북 고창군 신림면 외대리 | 1923. 6.14 | 1944. 8.30 | 1945. 8. 7 |
巴山 有福 | 전남 고흥군 동강면 매곡리944 | 1901. 4.13 | 1945. 4.19 | 1945. 9.21 |
三井 錫潤 | 경기 수원군 향남면 제암리 | 1923.11.30 | 1943. 9.21 | 1945. 4. 1 |
행정구역명은 당시 기준으로 현재와 다를 수 있음.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