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5일 아르헨티나의 휴양지 마르델플라타에서 열리는 제4차 미주정상회의에 두 정상이 모두 참석하기 때문이다. 이번 미주정상회의에 참석하는 나머지 32개국 정상은 부시 대통령과 차베스 대통령의 격돌을 마음 졸이며 지켜볼 것 같다.
▽‘기세 등등’ 차베스=차베스 대통령은 5월 쿠바를 방문하면서 자신을 ‘새로 태어난 사회주의자’라고 선언했다. 그의 공언은 베네수엘라 국내 정책을 급진적으로 사회주의화하는 조치와 맞물려 이뤄졌다.
그는 경작되지 않는 대농장과 기간산업 시설을 국유화하는 한편 도시와 농촌에 수만 개의 협동조합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차베스 대통령은 자본주의 및 이윤추구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근로자들에게는 임금과는 다른 형태의 보수를 주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더구나 차베스 대통령은 자신의 ‘21세기 사회주의’를 국경 너머 중남미 국가들에도 적극적으로 전파하고 있다. 그의 핵심 무기는 산업의 피인 원유와 그칠 줄 모르는 독설이다.
차베스 대통령은 9월 카리브 해 연안지역 9개국과 원유 수출계약을 체결했다. 앞으로 25년간 유리한 조건으로 원유를 공급한다는 내용이었다. 같은 달 유엔 총회에서는 미국을 테러국가라고 쏘아붙였다.
그는 지난달 30일 자국 방송에 출연해 “부시 대통령과 같은 탁자에 앉아 ‘아름다운 토론’을 하길 기대한다”고 너스레를 떨기도 했다.
상당수 중남미 국가 서민들은 이런 차베스 대통령에게 호감을 보이고 있다. 호르헤 카스타네다 전 멕시코 외무장관은 “현재 남미에서는 차베스 대통령을 ‘역할 모델’로 보거나 ‘든든한 후원자’로 여기고 있다”고 말했다.
▽‘사기 꺾인’ 부시=그동안 미국은 미주정상회의를 통해 미주자유무역지대(FTAA) 창설 합의를 이끌어 내려고 노력해 왔다. 하지만 이번 회의에서는 FTAA 관련 구절이 공동선언문에 들어가지도 못할 처지에 놓였다. 2005년 말로 예정했던 FTAA 출범은 사실상 무산됐다.
정작 FTAA를 밀어붙여야 할 주체인 부시 대통령은 2000명이 넘는 이라크전쟁 사망자와 잇따라 들이닥친 허리케인에 정신을 못 차리고 있다. 최근 루이스 리비 전 부통령비서실장까지 기소되면서 총체적 난국에 빠진 상태.
부시 대통령은 네오콘(신보수주의자)들로부터 베네수엘라와 쿠바가 불러일으키는 ‘반미 바람’을 잠재우라는 독촉까지 받는 처지다. 네오콘들은 벌써부터 차베스 대통령과 피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을 ‘전복(顚覆)의 축’이라며 두 사람을 겨냥해 왔다. 특히 원유를 무기로 공세를 펴는 ‘차베스 위협론’의 수위가 높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7월 미군 수백 명을 남미 한복판인 파라과이에 진주시킨 것은 인근 국가인 볼리비아에 베네수엘라의 좌파 분위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다. 볼리비아는 미주대륙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천연가스전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전문가들은 차베스 대통령이 중남미에서 주도권을 잡기는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고유가에 힘입은 그의 영향력은 유가가 떨어지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등 전통의 남미 강국들도 베네수엘라의 독주를 내켜하지 않는다.
미국 역시 막강한 군사력을 배경으로 에콰도르, 콜롬비아, 페루 등과 양자 자유무역협정을 추진하면서 중남미 포위 전략을 계속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진 기자 leej@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