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核 강온론 각국 속내

  • 입력 2006년 1월 18일 03시 03분


이란 핵 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하려던 미국과 유럽의 강경 드라이브가 또다시 한 박자 늦춰지는 분위기다. 러시아와 중국이 일단 강경론에 제동을 걸었기 때문이다.

이란이 10일 나탄츠 핵 연구시설의 봉인을 2년 만에 뜯고 재가동한 뒤 국제사회에선 안보리 회부를 통한 제재를 촉구하는 강경론이 우세했다. 미국에선 군사공격론까지 제기됐다.

17일 영국 런던에서 5개 안보리 상임이사국(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과 독일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긴급 대책회의에서 합의가 이뤄지면 이란 핵문제는 곧바로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회를 거쳐 안보리 제재에 들어가는 ‘쾌속 수순’을 밟게 될 전망이었다.

하지만 6개국 대책회의에선 안보리 회부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대신 이란이 핵시설 가동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유럽 3개국은 별도로 내달 2, 3일 IAEA 이사회 소집을 요구하며 대이란 압박을 계속하는 선에 그쳤다.

이는 러시아가 이란의 타협안 수용 가능성을 내세워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 앞서 이란은 16일 밤 모스크바 주재 이란 대사를 통해 ‘이란이 아닌, 러시아에서 우라늄을 농축’하는 타협안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긴급 메시지를 보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이런 강경 대치와 협상재개가 반복되는 것은 주요국의 속내가 제각각이기 때문. 미국은 이란의 핵무장을 경계하며 강경 대응을 주문하고 있고, 유럽은 협상을 선호하면서도 미국을 무시할 수 없는 형편이며, 러시아는 농축 우라늄 판매 기회를 엿보고 있고, 중국은 석유 수입국 이란을 보호해야 하는 처지다.

이철희 기자 klim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