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총리의 사임을 요구하며 대규모 시위를 주도해 온 ‘국민민주주의연대(PAD)’는 총선 무효소송을 제기할 방침이어서 정치 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이 단체 지도부의 한 사람인 잠롱 스리무엉 전 방콕시장은 3일 “유례없이 많은 기권표는 집권당의 정치적 파산을 뜻하며 탁신 총리는 이제 영원히 정치를 그만둬야 한다”고 사임을 거듭 주장했다.
조기 총선을 실시해 위기를 벗어나려 했던 탁신 총리는 또 다른 반발에 부닥치자 이날 “독립적인 국가화해위원회를 구성해 이 위원회에서 사임을 요구하면 (총리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제안은 사임에 큰 비중을 둔 것이라기보다 국가화해위원회를 지지 세력 중심으로 구성해 정통성을 강화하려는 꼼수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탁신 총리 사임을 주장해 온 세력이 이 제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선거에서 집권당이 단독 후보를 내세웠지만 최소 당선 요건인 유효표의 20%를 못 얻은 지역구는 38곳이나 됐다.
주로 수도 방콕과 남부 지역에서 집권당 후보가 단독 출마했음에도 불구하고 선거 참여를 거부한 야당의 ‘기권표’ 호소에 유권자가 호응해 낙선 사태가 빚어졌다.
선거 결과를 보면 당선자가 확정된 362개 선거구 모두 집권당 후보가 싹쓸이했다. 외형상 엄청난 압승이지만 야당이 선거를 보이콧한 상황에서 치러진 ‘반쪽 선거’였다는 점에서 선거의 정당성 논란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제1야당 민주당 등 3대 야당은 이번 선거를 전면 보이콧했고 이에 따라 전체 400개 선거구 중 278개 선거구에서 집권당 후보가 단독 출마했다. 복수 후보가 나온 선거구도 주요 야당 후보가 불참한 가운데 당선 가능성이 거의 없는 후보만 나와 집권당의 독무대가 되고 말았다.
이철희 기자 klimt@donga.com
외신종합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