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부터 전국적인 총파업에 돌입한 야당과 학생들, 공산반군은 9일 주요 도시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여 국왕 하야와 민주주의 회복을 요구했다. 그러나 지난해 2월 친위쿠데타를 주도한 갸넨드라 국왕은 발포명령과 함께 통행금지 지역 확대로 맞서고 나섰다.
특히 이날 카트만두 2000명 이상, 바랏푸어 1000명 이상이 가세한 시위는 전날인 8일 카트만두와 포카라에서 진압경찰이 발포한 총에 모두 2명이 숨졌다는 소식 때문에 한층 격렬하게 전개됐다.
또 수도 카드만두를 비롯해 곳곳에서 상당수 시위대가 시 외곽에 집결한 뒤 통행금지 명령에도 불구하고 도심을 향해 가두행진을 감행하기도 했다. 공산반군은 카드만두 주변 지역에서 정부 건물과 경찰서를 공격했다.
이에 네팔 정부는 갸넨드라 국왕의 휴양소가 있는 제3의 도시 포카라를 비롯해 카드만두 외곽 도시들에까지 야간 통금에 이어 주간 통금을 확대하고, 진압경찰에 발포명령도 내렸다. 또 6일부터 야당 지도자와 시위대 등 751명을 붙잡아 이중 115명은 투옥했다.
이번 사태는 갸넨드라 국왕의 친위쿠데타 이후 경제가 악화되고 공산반군의 무장투쟁도 거세져 주민들의 불만이 증폭되면서 발생했다. 근로자와 기업인 등이 학생들과 야당의 시위에 가세하고 공산반군도 총파업에 동조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전개되고 있다.
미국과 일본, 유럽연합(EU), 인도 등은 네팔 정부의 강경진압을 일제히 비난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이에 앞서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은 "(네팔 정부가) 안보를 고려한다는 점이 시민들의 평화적 시위권을 부인하는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진기자 leej@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