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히신문은 7일 '일본이 분열된다'는 제목의 특집기사를 통해 이같이 전하고 출산율 저하와 지방산업의 쇠퇴, 정부 공공투자 감소 등을 중견도시 몰락의 주요 원인들로 꼽았다.
일본 정부가 5년마다 실시하는 국세(國勢)조사에 따르면 2000~2005년 사이 인구 10만 명 이상 중견도시 269개 중 23개가 '자연도태'했으며 71개가 '쇠퇴'하는 등 94개가 소도시급으로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도태'는 인구가 2.9% 이상 줄어든 경우이며 '쇠퇴'는 0~2.8%까지 줄어든 경우를 말한다.
반면 도쿄(東京) 등 수도권은 중견도시 가운데 85% 가량이 인구가 늘었다.
도시 사이에서도 사람이나 기업이 모이는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것.
중견도시의 몰락은 최근 들어 더욱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5~1990년 인구 10만 이상 도시에서 자연도태된 곳은 1곳뿐이었으나 2000~2005년 자연도태 도시가 23곳에 이르며 쇠퇴 도시가 아오모리(靑森) 나가노(長野) 가네자와(金澤) 등 현청소재지를 포함해 71개시에 이른다는 것.
이런 현상은 다시 인근 시정촌(市町村)에 영향을 끼쳐 2000~2005년 인구가 늘어난 시정촌이 전체의 27.6%인 데 비해 쇠퇴한 곳은 21.8%, 자연도태된 곳은 50.6%였다.
앞으로도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낸 '2030년 지역경제 시뮬레이션' 보고서는 도시권 중 경제규모가 늘어나는 것은 도쿄 등 35개 도시뿐이며 나머지 87%는 줄어들 것이라고 추측했다.
감소율은 현청소재지가 3.2%, 이를 제외한 10만 명 이상 도시가 6.4%, 10만 명 미만 도시는 15.1%로 소규모 도시일수록 쇠퇴경향이 커진다는 것.
신문은 이에 따라 가까운 장래에 일본 도시에서는 고령자 층이 늘어나 '복지난민'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도쿄=서영아특파원 sya@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