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안(集安)서 발견된 고분의 40% 규모=고분이 발견된 지역은 지안 시 칭스(靑石) 진의 압록강 동쪽 지대로 윈펑(雲峰) 댐 건설 당시 수몰됐던 곳이다.
고분은 42년간 수몰돼 있다가 댐 관리소가 시설 보수를 위해 댐 수위를 낮추면서 모습을 드러냈다.
고분 수는 2360기로 그동안 지안 일대에서 발견된 고분 6000여 기의 40%에 육박한다. 고구려 고분은 북한에서 발견된 것까지 포함하면 1만3000개다.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고분과는 별도로 상당수 고분과 성터가 아직도 수심 30m 아래에 잠겨 있는 상태다.
이 일대 고분군에서는 댐 공사로 상류 지역이 수몰되기 직전인 1964년 5월에도 205기의 고분이 발견됐다.
당시엔 댐 공기를 맞춰야 한다는 이유로 고분 전체를 발굴하지 않은 채 비교적 보존 상태가 좋고 특징 있는 적석묘, 방단적석묘, 계단적석묘, 봉토석실묘 등 30여 기만 발굴했다.
▽42년 만의 발굴, 동북공정과 관련 있나=신화(新華)통신은 ‘지린에서 한(漢)대 고성(古城) 수면 위로 드러나’라는 제목으로 608자 분량의 기사를 보도하면서 새로 발견된 한의 고성 터에 관한 내용을 상세히 다뤘다. 반면 고구려 고분에 관해선 고작 3줄 66자로 짤막하게 보도했다.
신랑(新浪) 등 중국의 종합 검색사이트와 다른 언론들은 신화통신의 기사를 단 한 자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전했다. 기자의 현장 접근이나 자유로운 추가 취재가 전혀 허용되지 않은 것이다.
고분 발견 뉴스를 보도한 신화통신 기자는 고구려 고분에 대한 현장 상황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보도 내용 외에 더 해줄 말이 없다”며 냉랭하게 전화를 끊었다.
윈펑 댐은 1958년 12월에 착공해 1967년 9월에 준공됐다. 댐에서 북쪽 상류 쪽으로 3.5km 떨어진 곳에 량민 고분군 등이 있고, 20km 더 위쪽에 성터가 있다.
▽한(漢)대 추정 성터도 발견=신화통신은 고분군에서 남쪽으로 약 20km 떨어진 수몰지역에서 한대의 것으로 보이는 고성 터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성터는 싼다오거우 진의 압록강 오른쪽 기슭, 해발 280m 되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이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높이는 1.5m, 너비는 4m가량이다.
발굴을 주도한 창바이산문화연구회의 장푸유 회장은 “성벽의 구조와 축성 형태 등으로 보아 고구려나 발해, 요나 금나라 때의 성과는 차이가 있다”며 “한나라(기원전 202∼기원후 220) 때 성을 쌓은 것 같다”고 추측했다.
그러나 서영수 단국대 교수(역사학)는 “고구려 11대 동천왕 때 관구검의 침략을 받아 환도성(국내성의 방어성)이 함락당한 뒤 247년 수도를 동황성(東黃城)으로 옮겼다는 기록이 나오는데 무덤 떼의 규모로 봐서 이번에 발굴된 성이 동황성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하종대 특파원 orionha@donga.com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