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위원회는 이날 서울 정동 세실레스토랑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밝히고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의 8·15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저지하기 위해 11~15일 도쿄(東京) 일대에서 한국 일본 대만 3개국 민간단체 공동행사를 개최키로 했다고 전했다.
이들은 '8월 국제공동 촛불행동'을 통해 고이즈미 총리의 신사 참배 중단과 한국인 및 대만인 전사자의 무단 합사 취소를 촉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행사를 위해 야스쿠니 신사 합사자 유족, 시민단체 회원, 대학생 등 200여 명이 일본을 방문해 일본인 1000여명, 대만인 50여 명과 행동을 함께 한다. 또 여야 의원 10명도 11~13일 일본을 방문한다.
'야스쿠니 반대 공동행동'은 정확한 합사자 수와 명부를 일본 정부에 공개 질의하는 한편 한국과 대만, 일본 유족들로 공동 원고단을 구성해 야스쿠니 신사를 상대로 합사 취하소송을 이달 중 제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승 공동대표(일본 리쓰메이칸·立命館대학 교수)는 "야스쿠니 신사가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임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한국과 대만, 일본인 희생자들의 무단 합사를 취하하는데 뜻을 함께 하는 이들이 촛불을 들고 도쿄에 모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류젠차오(劉建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7일 일본 차기 총리가 야스쿠니(靖國)신사에 참배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일본을 방문중인 류젠차오 대변인은 이날 외무성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아베 신조(安倍晋三) 관방장관이 4월 신사 참배를 강행한 것과 관련 "보도를 관심 깊게 보았다"며 "중국의 역사문제에 대한 태도는 일관되며 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조이영기자 lycho@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