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대북 대화-압력 병행 한국과 의견일치”

  • 입력 2006년 9월 8일 03시 00분


한일 양국은 7일 동해상 방사능 오염 조사를 공동으로 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유명환 외교통상부 제1차관과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일본 외무성 차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차관급 전략대화 이틀째 회의를 열어 이같이 의견을 접근시켰다.

외교부 관계자는 “일본 측이 매년 실시하는 방사능 조사인 만큼 올해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면서 “자극적인 대립을 피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공동 조사를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공동 조사를 하더라도 독도 영유권이 훼손되는 것은 절대 용인할 수 없다는 게 정부의 기본 입장”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그동안 일본의 방사능 조사와 관련해 한국 측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 해양 조사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한국의 사전 동의를 얻어야 한다는 방침을 지켜 왔다.

양측은 이날 끝난 전략대화에서 유엔 대북 결의문 이행과 6자회담 재개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으나 두 나라의 발표 수위가 달라 미묘한 파장이 일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일본 측이 유엔 결의문과 관련해 추가로 검토하고 있는 제재 조치 내용을 우리 측에 설명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전략대화의 경우 원래 구체적인 대화 내용을 공표하지 않는 게 원칙”이라며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주한 일본대사관은 이날 주한 일본특파원들에게 공표한 보도자료에서 “두 나라가 북한에 대해 대화와 압력을 적절히 결합해 나가자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고 밝혔다.

한국 측 발표 내용에는 없는 ‘대화와 압력의 결합’이 들어 있는 것. 이 때문에 양국이 북한에 ‘대화와 압력’을 병행하기로 합의해 놓고 북한을 자극하는 것을 꺼리는 한국 측이 이를 발표에서 삭제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그렇게 얘기한 것은 일본 버전일 뿐”이라며 “대화와 압력을 결합하기로 합의한 것이 아니라 북한에 단호한 메시지를 보내면서 대화 채널을 열어 외교적으로 해결해 보자는 의견을 교환했다”고 설명했다.

문병기 기자 weapp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