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가치 없는 내용 짜깁기 ‘고조선’ 왜곡”

  • 입력 2006년 9월 12일 03시 00분


《‘기자조선, 위만조선, 고구려, 부여, 발해국 5개 동북지방 정권이 모두 중국 중앙 황권 통치하의 지방정권이라는 것을 논증하여 간도 영유권 논쟁을 종식시켜야 한다.’ 한국고대사 전체를 겨냥한 중국 동북공정의 노림수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고구려연구회는 14일 오전 10시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중국의 동북공정 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주제로 학술토론회를 개최한다. 동북공정 홈페이지에 올라 있는 17개 연구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고구려, 고조선·부여, 발해, 민족사, 근현대사 관련 5개 주제로 나눠 평가와 대응논리를 제시하는 자리다. 이 중 일반에게 많이 알려진 고구려 이외의 연구 분석 자료를 미리 입수해 소개한다.》

○ 고조선 연구에 대한 평가

서영수 단국대 교수의 발표초안에 따르면 헤이룽장(黑龍江) 성 사회과학원의 장비보(張碧波) 연구원이 지은 ‘기자와 기자조선연구’는 철저히 한국사의 독자성을 부정하고 중국사의 입장에서 고조선사를 체계화한 최초의 저작이다. 이 책은 “단군조선은 중국의 ‘산해경’ 등에 실린 ‘십일(十日)신화’를 본떠 만든 신화에 불과하며, 은상(殷商)의 후예인 기자가 세운 기자조선부터 역사적 실체”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고조선을 중국역사로 끌어가기 위해 중국사학계에서도 사료로 인정하지 않는 ‘산해경’과 ‘주역’ ‘시경’의 내용을 억지로 짜깁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발해 연구에 대한 평가

한규철(경성대 교수) 고구려연구회 회장은 ‘발해국사’ ‘발해사론’ ‘발해 이민통치와 귀속 연구’ 등 3편의 저작을 분석했다. 그는 발해가 말갈족의 나라라는 주장은 같으나 그 논지를 펴는 학자들이 발해사 전공자에서 요금사 전공자로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발해는 속말갈이 세웠다는 신당서와 고려(고구려)별종이 세웠다는 구당서 등 당시 중국사서에 의존해야 해 한국 측에 불리하다는 것이 한 교수의 우려다. 그는 “‘말갈’이라는 명칭을 고구려 변방지대에 거주한 고구려인의 비칭(卑稱)으로 이해할 때 발해사가 온전히 한국사로 인정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 고구려 옛 땅 민족사 연구에 대한 평가

명지대 김위현 명예교수는 조공·책공 여부로 예속관계를 단정 지은 ‘역대 왕조의 동북변방통치 연구’에 대해 “남북조 때 다섯 오랑캐가 세운 북조가 남조를 누르고, 금이 남송 고종을 책봉하고 조공을 받았지만 이를 예속관계로 설명하진 않는다”고 반박했다. 김 교수는 또 동북지구 한(漢)족을 ‘토박이’라고 주장한 ‘동북한족 연구사’에 대해 “동북에서의 한족인구도 시대에 따라 증감이 있었는데 언어, 습관, 산업 등 문화가 많이 달라 쉽게 융합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 근현대사 문제 연구에 대한 평가

박선영 포스텍(포항공대) 교수는 ‘청대 압록강 유역의 봉금과 개발연구’ 등을 분석했다. 이들 연구서는 압록강과 백두산, 두만강이라는 현재의 한중 국경선을 고착화하기 위해 명(明)조 중기부터 이 국경선이 확정됐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고 박 교수는 지적했다.

박 교수는 “특히 ‘국제법과 중-조 변경 논쟁 문제’는 ‘기자조선 등 5개 동북지방 정권이 모두 중국 중앙 황권 통치하의 지방정권이라는 것을 논증하여 이론적으로 갑오전쟁 전 중-조 관계 및 관련 변경 논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동북공정이 간도영유권을 직접 겨냥하고 있음을 직접적으로 드러냈다”고 말했다.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