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6자회담에서는 10여명에 불과한 자국인 납치문제에 강경 대응하면서 일제가 저지른 반인륜적 범죄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너그럽다는 국제적인 비난까지 겹치면서 입장이 더욱 난처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아베 총리는 위안부에 대한 정면 대응이 파문만 확신시킬 우려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당분간 대응을 자제하며 사태 추이를 지켜볼 것으로 전망된다.
아베 총리는 미 하원에 제출된 군대위안부 결의안에 대해 "강제성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다"고 반박한 데 이어 결의안이 채택되더라도 일본 정부로서 사죄할 의향이 절대 없다고 당당하게 맞섰었다.
위안부의 강제동원을 인정, 사과와 반성을 표명했던 1993년 당시 고노 요헤이 관방장관의 담화에 대해서도 '광의의 강제성'은 인정되지만 '협의의 강제성'의 증거가 없다며 수정 필요성까지 시사했었다.
그러나 한국 등 아시아 각국의 즉각적인 거센 반발에다 국회에서 야당들의 추궁이 이어지고 있고, 미국 유력지와 인사 등이 아베의 왜곡된 역사인식을 잇따라 공격하고 나섬에 따라 아베 총리의 대응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미국의 뉴욕타임즈와 LA타임즈, 보스턴 글로브 등 유력지에 이어 유력 주간지인 타임도 아베 총리의 위안부 발언 비판에 가세했다. 타임은 일본 정부가 6자회담 북.일 실무회의에서 북한을 상대로 자국인 납치문제는 중시하면서 위안부에 대해서는 부인하고 있는 점을 비판했다.
또 지난 9일에는 토머스 쉬퍼 주일 미 대사가 일본의 일부 지도자가 군대위안부문제를 과소평가하고 있는 것은 잘못이라면서 "고노 담화가 후퇴하고 있는 것으로 미국 내에서 받아들여질 경우 파멸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동원기자 daviskim@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