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국정원장 과잉노출 논란 확산

  • 입력 2007년 9월 4일 03시 01분


김만복(사진) 국가정보원장의 아프가니스탄 피랍자 석방 이후 지나친 언론 ‘노출’과 업적 자랑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청와대는 겉으로는 김 원장을 옹호했지만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한나라당은 정보기관 수장의 부적절한 처신이라고 비판하며 김 원장의 퇴진까지 요구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3일 브리핑에서 “시대 변화에 따라 정보기관의 역할과 활동 방식도 달라져야 한다”며 김 원장을 두둔했다. 천 대변인은 “과거 ‘정보기관 책임자의 활동은 무조건 공개돼선 안 된다’는 게 일반적 인식”이라고 전제한 뒤 “이것이 꼭 보편적이냐 아니냐 등 여러 시각이 있지만 정보기관 활동도 공개 범위 내에서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지 않는가 하는 부분에 대해 앞으로 토론이 이뤄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김 원장의 처신에 대한 비판이 확산되자 곤혹스럽다는 표정이 역력하다.

천 대변인은 ‘김 원장이 적극적으로 자신을 노출하고 직접 브리핑을 한 것이 이른바 21세기형 국정원장의 모습이냐’는 질문에 “바로 뭐라고 답하기는 좀 그렇다”고 즉답을 피했다.

또 천 대변인은 “큰 맥락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언론이 정보기관장의 노출 논란을 제기하는 것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청와대 내부에서도 김 원장에 대해 “정교하지 못했다” “과유불급이란 말을 생각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은 김 원장이 사실상 내년 총선 출마를 겨냥해 무책임한 정치 이벤트를 벌였다며 비판했다.

강재섭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국정원장이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는 국정원 원훈과는 달리 ‘양지에서 일하고 양지에서 출마’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재오 최고위원은 “즉각 사표를 내고 물러나지 않으면 정기국회에서 법이 허용하는 모든 대응을 하겠다”고 말했다.

국정원 전신인 국가안전기획부 차장 출신인 정형근 최고위원도 “원장 본인이 주도해 수십 차례 사진을 찍고 설명을 하고 자화자찬을 하는 것은 적절한 처신의 한계를 넘었다”고 비판했다.조수진 기자 jin0619@donga.com

이승헌 기자 dd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