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는 살아있다/신해혁명上]가토 요코 도쿄대학 준 교수

  • 입력 2007년 10월 28일 09시 22분


[ 시리즈 지식인 20명에게 듣는다] 7. 동아시아 근현대사의 10대 사건은?

■ 이중 외교의 시작 시베리아 출병 - 가토 요코(加藤陽子) 도쿄대학 준 교수

작가인 시로야마 사부로(城山三郎)는 “(일본이) 전쟁으로부터 얻은 것은 헌법뿐이다.”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다른 나라가 혁명을 통해 획득한 것들을 일본은 이웃 여러나라를 전화 속으로 몰아 넣으며 전쟁을 통해 획득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일본인의 전쟁’의 특징은 무엇이었냐 에 중점을 두고 싶다. 의외로 영향이 컸던 것은 러시아 혁명과 시베리아 출병이다. 러일 전쟁 후, 중국 동북부로부터 몽골에 걸친 지역은 러시아와 일본 양국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분리되어 있었다. 러시아 혁명으로 그 질서가 무너지자, 일본군은 영국과 프랑스의 의향에 힘입어 출병을 단행했다.

이 때 함께 출병한 미국은 일본군의 출병 지역을 연안부로 제한했지만, 참모 본부는 중국과 일본군을 중국군 사령관 지휘 하에 둘 수 있다는 협정을 맺어, 만주 전역에서 사실상 자유로이 행동을 취했다. 때마침, 하라 다카시(原敬)가 최초로 정당 내각을 조직하여 사용 병력과 지역을 한정하였지만, 군은 교묘히 빠져 나갈 길을 만들었다. 일본의 이중 외교는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여러 가지 공작과 모략을 담당하는 육군 특무 기관이 설치되었던 것도 이 때다. 제대로 정식 수속을 밟지 않고 모략을 계기로 전쟁을 시작하여, 현지에 괴뢰 정권을 만들어서 사실상 컨트롤은 일본군이 하는 독자적인 수법도 여기서부터 시작됐다.

2번째로는 태평양전쟁의 “패배”다. 일본 사회의 기본적 질서 원리였던 국체(国体)가 바뀌었다. 아시아에 있어서 일본의 패배는 “광복”이었지만 혼란도 가져 왔다. 혼란이 의외로 빠른 시기에 찾아 와, 한국의 경우는 독립 세력이 하나가 되어 건국 준비를 할 시간적 여유가 없었으며, 분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국에서도 국민당 정부가 공산당에 대한 태세를 취하지 못하고, 내전을 거쳐 공산당이 정권을 잡았다.

1899년과 1900년 미국의 문호 개방 선언은 “늦게 찾아 온 제국”인 미국의 방편이었지만, 피지배 민족에게는 힘을 주었고, 이후의 대세로 이어졌다. 지배받는 쪽의 편에 서서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오늘날까지 계속되는 미국의 수법이다.

3•1 독립 운동은 일본에 있어서, 군부를 대신하여 정당이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음에도 살리지를 못했다. 조선에 대한 통치를 무단 통치에서 전환할 당시, 정당은 조선 총독의 자리를 두고 싸워, 당리당략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군부의 체면이 깎였음에도 정당이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하자, 군부의 영향력이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

만주 사변 전에 일본이 남 만주(南満州)에서 지니던 권익은, 국가가 전쟁에 의해서 획득한 조약상의 권리가 대부분이었다. 일본의 민간인들은 스스로 대륙에 진출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국가와 군대의 보호 하에 진출하였다. 이것이 일본인의 배외주의를 조장했다. 게다가, 중일 간에는 조약에 관한 주장의 불일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에게는 알리지 않아, 만주 사변이 중일 전쟁으로 확대되는 사태에 영향을 끼쳤다.

중일 공동 성명은 미국이 중국을 설득하여 실현되었다. 당시 미국이 일본의 핵무장을 크게 염려하여, 중국과 협력해서 일본을 억제하려 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일본인은 베트남 전쟁을 베트남 측을“피해자”라고 보면서도, 기지를 계속 제공했다. 그 당시 정말 필요했던 것은 “침략자”의 입장에서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을 재고해야하지 않았을까.

신해혁명으로부터 중화인민 공화국의 성립까지를 긴 중국 혁명의 시기로 파악한다. 도중에 국공 합작과 대일 전쟁의 승리라는 획기적인 일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을 들 수 있다. 일본이라는 마지막 참가자를 얻자, 제국주의 전쟁은 한층 더 박차를 가해, 청조와 러시아 왕조가 무너지는 계기가 되었다.

(인터뷰: 요시자와 다쓰히코(吉沢龍彦))

▼ 약력

1960 년 생. 1930년대의 일본 군사, 외교사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에는 『전쟁의 논리』, 『전쟁의 일본 근현대사』등이 있다.

▼ 내가 선택한 10 대 사건

(1) 러시아 혁명과 시베리아 출병

(2) 태평양 전쟁의 ‘패배’

(3) 미국에 의한 문호 개방 선언

(4) 3•1 독립 운동과 정당 정치의 부패

(5) 만주 사변에서 중일 전쟁으로

(6) 중일 공동 성명

(7) 베트남 전쟁

(8) 긴 중국 혁명

(9) 청일 전쟁

(10) 러일 전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