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해 2억3000만 명을 넘어서면서 인터넷이 중국 사회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한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인터넷이 ‘중국식 민주주의의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는 평가가 있는 반면 누리꾼이 특정 희생양을 무차별 파헤치는 ‘인육수색(人肉搜索)’식 행태는 사라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은 지난달 20일 런민(人民)일보 웹사이트를 통해 ‘강국논단’이라는 인터넷 게시판 운영자와 22분가량 온라인 대화를 나눴다. 후 주석은 “중국 공산당은 인터넷에서 나타난 의견을 매우 중시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청년보는 30일 28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72%가 “후 주석의 누리꾼과의 대화는 인터넷이 중국식 민주 건설의 새로운 길이 될 것임을 나타냈다”고 대답했다고 전했다.
응답자의 56%는 누리꾼이 현재 인터넷에 올리는 글의 진실성과 문명성(품위)이 높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응답자의 61%는 “인터넷에서는 익명성이 보장되어야 편하게 사실을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으며 인터넷 실명제를 찬성한다는 응답은 26%에 그쳤다.
한편 중국 누리꾼 사이에서 성행하는 인육수색에 대해서는 제재를 가해야 한다는 조사도 나왔다. 인육수색이란 누리꾼이 ‘매국노’라는 등의 이유로 ‘표적’을 인터넷에 공개수배하면 다른 누리꾼들이 표적 인물의 세세한 정보를 캐내 공개하고 그를 비판하는 행태를 말한다.
중국청년보는 30일 웹포털 텅쉰(騰訊)과 함께 249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0%는 인육수색이 ‘인터넷 폭력’인지는 상황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80%는 적절한 규범이 마련돼야 한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저우칭산(周慶山) 베이징(北京)대 정보관리과 교수는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민중이 충분히 의사표현을 하지 못하다 자유롭게 말할 수 있는 인터넷이라는 무대가 마련되면서 인육수색이라는 ‘과유불급(過猶不及)’한 상황이 나타났다”고 말했다.
한 누리꾼은 “인터넷상의 인육수색은 손오공의 여의봉처럼 ‘요괴’를 잡을 수도 있지만 무고한 사람에게 상처를 줄 수도 있는 양면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응답자 중 자신이 인육수색의 대상으로 피해를 볼 것에 대해 걱정하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이 조사에서 응답자의 42%는 ‘전혀 걱정하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20%만이 자신도 인육수색 대상이 될 것을 우려했다.
이 신문은 응답자의 13%는 한 번 이상 인육수색에 참여해 본 적이 있지만 ‘나쁜 일을 하지 않으면 검색당할 일이 없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전했다.
베이징=구자룡 특파원 bonh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