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무로 신이치(山室信一) 교토(京都)대학 인문과학연구소 교수
■ 출발점으로서 중요성 가지는 제1차 세계 대전
제일 먼저, 제1차 세계 대전을 들고 싶다. 여러 가지 사건들과 사상의 조류의 출발점이 여기에 있다. 중대성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윌슨 미대통령이 ‘민족자결주의’를 제창도 하였고, 조선에서는 3•1 운동이, 중국에서는 5•4 운동이 일어나는 등, 아시아에서의 식민지 해방 운동이 퍼져갔다.
동시에,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일어난 러시아 혁명으로 식민지 해방과 민족 독립 의 요구가 국제 공산주의 운동과 하나가 되었다. 한편으로는 ‘대화(対華) 21개조 요구’와 시베리아 출병 등이 중국과 구미, 소련과의 알력을 증대시켜 태평양 전쟁을 향한 복선이 되었다.
더욱이 국제 연맹이 발족으로 국제 체계가 변하였고 전쟁의 위법화가 시작되었지만, 일본은 이 크나큰 변동에 대응하기는커녕, 오히려 총력전에 대한 위기감에서 군부의 대두를 촉진시켰다. 문화와 사상 면에서는 모던 걸과 모던 보이의 등장 등 <모던>적인 경향이 두드러지는 한편, ‘근대의 초극(超克)’론으로 이어지는 회의적인의 면도 나타났다.
다음은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일본국 헌법 제정’이다. 전쟁으로 아시아 각 지에서 일본인은 군인으로서 현지 사람들과 직면했다. 그런 일본인들은 예전과는 전혀 다른 체험을 했으리라 여겨지지만, 아시아에 대한 인식의 변혁으로는 직결되지 못했다.
하지만, 에도막부 말기 이래의 사상의 흐름 속에 전쟁 포기를 규정한 인류사적 의의를 가지는 헌법이 오랫동안 지지를 받아 온 것은, 군인으로서의 체험과 귀환을 포함한 식민지의 체험들, 그리고 비참했던 후방 체험이 있었기 때문이다.
‘일러 전쟁’은 아시아 유색 인종의 자각과 대두를 이끌었다. 베트남, 중국, 인도 등지에서 유학생과 독립 운동가가 일본을 방문하여 ‘아주화친회(亜州和親会)’ 등 연대 조직이 태어났으며, 그것이 중국동맹회에 의한 신해(辛亥) 혁명으로 이어졌다. 아프리카와 미국의 흑인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히로시마(広島)•나가사키(長崎)의 원폭 투하’는 중국의 충칭(重慶)과 도쿄(東京) 등지에서 일어난 비전투 요원을 향한 무차별 학살과 더불어 인류에게 경종을 울렸다.
‘조선(한국) 전쟁’은 미소 대립이라는 냉전 구조를 동아시아에 재생산하였고 일본의 재군비를 재촉하였다. 지금도 휴전 상태인 채로 21 세기까지 문제는 그대로 남아있다고 할 수 있다. ‘중화 인민 공화국의 성립’도 냉전을 구조화하였고 , 중국과 대만의 관계 외에도 티벳과 위구르 문제 등의 어려운 문제를 오늘날까지 남기고 있다.
‘한국 병합’은, 오늘날에도 그 합법성에 대해 논쟁이 끊이지 않는데서 알 수 있듯이, 한일 관계의 걸림돌로 화해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일본의 조선반도(한반도) 지배권 유지를 위한 만주(滿州)와 몽고(蒙古)를 ‘생명선’으로 하는 논의가 일어났다.
‘일청 전쟁과 일본으로의 대만 할양’으로, 당시까지 동아시아의 지배구조였던 책봉과 조공 체제가 붕괴되었으며 국제법 체제로 전환하였다. 일본은 대만 영유를 기점으로 제국(나의 용어로는 ‘국민 제국’)으로 돌아섰으며 최종적으로는 대동아 공영권으로 발을 내딛었다.
‘만주국의 건국과 붕괴 후의 ‘잔류’와 억류 문제’. 만주국 건국으로 일본의 식민지에 이슬람권이 포함되게 되었고, 일본의 대아시아주의에 의한 지배지 확장이 본격화되었다. 또한, 만주국은 일본의 기시 노부스케(岸信介)와 한국의 박정희 등이 커가는 무대가 되었으며, 항일 운동이 중국과 북조선(북한)에서 김일성 정권의 정통성을 마련하는 근거가 되는 등, 전후 동아시아 체제에 그림자를 드리웠다. 한편, 중국의 ‘일본인 잔류’와 일본인의 시베리아 억류 문제는 근본적인 해결이 일각을 다투는 상황이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개혁과 개방’은 21 세기 아시아에 있어서 ‘거대 차이나(대중화권)’의 기점이 되었다. 오늘날의 국제 사회는 책봉과 조공 체제로 동아시아를 다스리던 구조와는 달라졌지만, 중화 세계에 어떻게 대처해 나갈 것인가라는 역사적 과제에 다시 직면해 있다.
인터뷰: 사토 가즈오(佐藤和雄)
[약력]
1951년생. 아시아에서의 법정 사상의 연쇄사를 연구. 저서로는 『사상 과제로서의 아시아-기축•연쇄•투기』등이 있다. 『헌법 9조 사상의 수맥』으로 시바 료타로(司馬遼太郎)상을 수상했다.
[리스트]
① 제 1차 세계대전
② 아시아 태평양 전쟁과 일본국 헌법 제정
③ 일러전쟁
④ 히로시마(広島)•나가사키(長崎)로의 원폭 투하
⑤ 조선 전쟁(한국 전쟁(
⑥ 중화 인민 공화국의 성립
⑦ 한국 병합
⑧ 일청전쟁과 일본으로의 대만 할양
⑨ 만주국 건국과 붕괴 후의 중국‘잔류’와 시베리아 억류 문제
⑩ 중국의 개혁과 개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