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이 바꾼 차이나

  • 입력 2008년 8월 8일 02시 54분


■ 2001년 유치결정 이후

자본가 끌어안으며 당 - 정부 입지 굳혀

WTO 가입 힘입어 국내총생산 2.5배로

“한국 올림픽이후 반면교사로” 민주화엔 선 그어

중국이 2001년 7월 13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올림픽 개최권을 딴 지 7년.

지난 7년은 반만년을 자랑하는 중국 역사에서 어느 때보다 압축적인 성장을 이룬 시기였다는 평가가 많다. 중국 최고의 전성시대라는 당(唐)나라 시절이 무색할 비약적인 성장이라는 것이다.

이 같은 성장의 배경엔 중국 공산당이 있었다. 공산당은 올림픽 개최를 통해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발전상을 세계에 과시하고 13억 중국인의 자부심을 고양하는 절호의 기회라는 판단 아래 주도면밀한 그랜드 플랜을 마련해 착착 실현해 왔다.

공산당은 2001년 12월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고 2004년 3월 사유재산권을 헌법으로 보장했다. 나아가 지난해 3월엔 물권법을 통과시키고 지속적인 국유기업 개혁을 통해 중국의 시장경제가 흔들림 없이 발전하는 토대를 마련했다.

경제 개혁과 올림픽 특수에 힘입어 중국 경제는 엄청난 발전을 이룩했다. 2001년 10조9655억 위안(약 1645조 원)이었던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24조9530억 위안으로 2.5배로 늘었다. 2001년 5096억 달러였던 무역액은 지난해 2조1738억 달러로 4배 이상 증가했다.

이제 ‘세계의 공장’ 중국이 흔들리면 전 지구가 요동치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하지만 중국 공산당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올림픽을 전후한 민주화 요구. 올림픽이 자칫 공산당의 집권기반을 허무는 계기로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공산당은 특히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민주화되면서 독재정권의 몰락을 가져왔던 한국의 사례에 주목했다.

뉴욕타임스는 7일 ‘소련과 동유럽권의 몰락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는 쩡칭훙(曾慶紅) 전 국가부주석의 4년 전 경고를 인용하며 중국 지도부가 올림픽을 전후한 경제 자유화와 세계화가 공산당 1당 체제를 흔들 수 있다고 우려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최근 공산당의 입지는 7년 전보다 더 확고해졌다. 2001년 6574만9000명이던 당원 수는 지난해 말 7415만3000명으로 13% 가까이 늘었다. 당원의 구성비율도 농민과 노동자가 줄고 지식인과 자본가 계층이 늘었다. 집권 기반이 더욱 탄탄해진 셈이다.

여기에는 공산당의 적응력과 핵심 산업에 대한 지배력 유지, 인터넷을 이용한 민족주의 고양 등 3가지가 핵심 역할을 했다고 뉴욕타임스는 분석했다.

공산당은 먼저 기업가 전문직 대학생 등 사회 엘리트를 폭넓게 편입시킴으로써 지지기반을 넓혔다. 민영화를 추진하면서도 석유 가스 석탄 통신 교통 전기 금융 등 핵심 산업은 그대로 국가가 소유함으로써 경제 지배력을 공고히 했다.

또 2억5300만 명에 이르는 누리꾼을 이용해 티베트 사건이나 각종 외교 분쟁 때 당과 국가를 동일시하게 함으로써 이들을 원군으로 활용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이 언제까지 통할지는 미지수다. 1인당 소득이 3000∼5000달러가 되면 민중의 정치 참여 요구가 폭발적으로 일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내년이면 1인당 소득 3000달러 선을 넘어서는 중국을 서방 세계가 주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베이징=하종대 특파원 orionha@donga.com

노지현 기자 isityou@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