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 확보 -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票다지기 총력
아프리카에 대한 외교력을 강화하려는 일본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19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일본 외무성은 가나 등 아프리카 주요 3개국 대사에 가타카미 게이이치(片上慶一·54) 대신관방참사관 등 전도가 유망한 젊은 외교관 3명을 기용했다.
다음 달 부임하는 가타카미 대사 내정자 등 3명은 종전의 외무성 인사 관례에 비춰볼 때 나이가 4∼5세 젊고 경력 또한 화려하다. 가타카미 대사 내정자의 경우 도쿄(東京)대 출신으로 요직 중의 요직인 인사과장과 관방장관 비서관 등을 지냈다.
이 신문은 “외무성이 젊은 대사들의 왕성한 활동력을 바탕으로 아프리카 외교 전체의 연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프리카 외교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은 외교관 인사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외무성은 지난해 아프리카에 대사관 3곳을 증설한 데 이어 올해도 모리타니 등 2개국에 대사관을 신설할 방침이다.
일본 정부는 수단에서 이뤄지는 유엔 평화유지활동(PKO)에 자위대를 파견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방위성과 외무성, 내각부의 공무원 11명으로 구성된 조사단이 지난달 말 수단 하르툼 등을 방문해 조사활동을 벌였다.
일본이 아프리카 외교를 얼마나 중시하는지는 공적개발원조(ODA) 금액에서도 여실히 나타난다.
일본은 2000년 세계 1위의 ODA 제공국에서 지난해 세계 5위로 추락할 정도로 ODA 예산을 급격히 줄이고 있다. 심각한 재정난 때문이다.
그런데도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총리는 5월 아프리카 40여 개국 정상을 초청해 “2012년까지 아프리카에 대한 ODA와 민간투자 규모를 2배로 늘리겠다”고 약속했다. 7월 주요 8개국(G8) 정상회담에서는 G8 정상과 아프리카 정상의 확대회의를 열어 아프리카 지원을 적극 홍보했다.
일본이 이처럼 아프리카의 환심을 사기 위한 총력외교에 나선 목적은 두 가지다.
첫째는 희귀금속 등 광물자원과 에너지 확보, 둘째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이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일본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되기 위해 필요한 128표 중 39%를 아프리카가 갖고 있다.
도쿄=천광암 특파원 ia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