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에서 비정규직 감원 회오리가 거세다.
후생노동성 통계에 따르면 내년 3월까지 비정규직 8만5000명 이상이 감원될 것이라고 마이니치신문이 26일 보도했다. 후생노동성은 한 달 전 발표에서 감원 규모를 3만 명으로 잡았지만 최근 급격한 경기악화를 반영해 감원 규모를 대폭 수정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전체 감원인원 중 96%(8만1240명)를 차지했고 지역별로는 도요타 본사가 있는 아이치(愛知) 현이 1만509명으로 가장 타격을 받은 지역으로 꼽혔다. 특히 올해 안으로 해고 통보를 받는 근로자가 무려 5만2680여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일본에서 주로 ‘파견사원’으로 불리는 비정규직이 급속도로 증가한 것은 2004년 ‘노동자파견법’이 개정되면서부터다. 편의점이나 통역 등 일부 업종에만 국한되던 파견사원이 법률 개정으로 다양한 업종에까지 허용됐다. 현재 일본의 근로자 3명 가운데 1명은 파견사원이다.
감원은 파견사원에서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경기위축이 우려되면서 내년도 신입사원 내정자 769명도 취소 통보를 받았다. 후생노동성은 파문이 확산되자 기업들에 내정을 취소하지 말아 달라는 공문을 보내는 등 진화에 나섰다.
한편 마스조에 요이치(舛添要一) 후생노동성 장관은 파견사원 주택 대책의 일환으로 현재 입주를 시작한 고용촉진주택 1만3000채 외에 추가로 3만 채도 내년 1월부터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해고돼 사원 기숙사에서 나가야 하는 실직자를 위해 주택 수를 늘린 것이다.
노지현 기자 isityou@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