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금융을 받고도 거액의 보너스를 지급해 파문을 불러온 AIG의 에드워드 리디 최고경영자(CEO)가 10만 달러가 넘는 보너스를 받은 직원들에게 절반을 반납하도록 18일(현지시간) 요청했다. 리디 CEO는 이날 하원의 금융소위 청문회에 출석해 “(보너스 지급에 대한) 국민의 인내심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일부 직원은 자진해서 보너스 전액을 회사에 반납하기로 결정했다”며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3개월 전에, 재무부는 2주 전쯤에 보너스 지급 사실을 알았다고 덧붙였다. 리디 CEO는 AIG 금융상품 부서에서 최고 인재들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번 보너스가 필요한 것이라고 믿었다고 덧붙였다. 리디 CEO가 직원들에게 보너스 일부를 자진 반납하도록 요청한 것은 직원들의 ‘자발적인 의사’에 호소한 것으로, 의회와 백악관 요구처럼 보너스를 철회하고 사실상 강제적으로 회수할 의향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AIG 보너스 지급에 대한 분노 여론이 수그러들지는 불투명하다. 한편 AIG발(發) 월가 보너스 파문은 다른 회사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8일 인터넷판에서 지난해 정부 지원을 받고 국유화된 국책 모기지 업체 패니메이와 프레디맥이 임원들에게 ‘잔류 보너스’를 지급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패니메이는 일부 경영진에게 47만 달러에서 최대 61만1000달러까지 잔류 보너스를 지급할 계획이다. 프레디맥도 이와 유사한 잔류 보너스를 지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의 감독당국인 연방주택금융지원국은 양사가 핵심 직원들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잔류 보너스 지급을 지난해 승인했다. 모건스탠리도 도마에 올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로버트 메넨데스 상원의원은 17일 티머시 가이트너 재무장관에게 편지를 보내 주식거래담당 직원이 이탈하지 않도록 모건스탠리가 최대 30억 달러의 ‘잔류 보너스’를 지급할 계획이라면서 이를 막아줄 것을 촉구했다. 뉴욕=신치영 특파원 higgled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