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턴 前미대통령 기조 연설
서울, 8개 도시와 ‘기후 MOU’
기후변화박람회도 함께 열려
세계 각국의 도시가 지구 표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2% 정도다. 하지만 연간 지구가 내뿜는 온실가스의 80%는 도시들에서 배출된다. 특히 수백만 명이 자동차를 타고, 건물을 이용하는 대도시는 지구온난화와 기후 변화의 주범으로 꼽힌다.
켄 리빙스턴 전 영국 런던 시장이 제안한 ‘C40 기후리더십그룹(C40 Climate Leadership Group)’은 바로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C’는 도시(City) 또는 기후(Climate)의 앞 글자를 땄고, ‘40’는 여기에 참여하는 도시들을 의미한다. C40는 도시들이 기후 변화에 공동 대응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기술 개발과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8∼21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과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는 영국 런던, 일본 도쿄, 캐나다 토론토, 호주 시드니 등 세계 80개 도시 시장단 및 대표단이 참가하는 ‘제3차 C40 세계도시 기후정상회의’와 ‘기후변화박람회’가 열린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구온난화와 기후 변화에 대한 도시 차원의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또 총회 마지막 날인 21일에는 전 세계 도시들의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담은 ‘서울선언문’을 채택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번 회의는 서울이 국제사회가 인정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선도 도시로서 브랜드 이미지를 선점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말했다. 이번 C40 회의에는 세계 주요 도시 시장단 등 500여 명이 참석한다.
○ 저탄소 도시 정책 방향 등 논의
19일 열리는 C40 회의 개회식 직전 C40의 파트너인 클린턴재단(CCI·Clinton Climate Initiative)의 이사장이기도 한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기조 연설자로 나서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을 역설할 예정이다. 클린턴재단은 C40와 함께 대도시의 이산화탄소 감축 공동 사업을 추진해 왔는데 이번 회의에서는 온실가스 배출을 증가시켜 왔던 신도시 개발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억제 방안을 발표한다.
이 밖에 이번 회의 기간에는 7차례의 본회의와 16번의 분과 토론에서 △경제위기 상황에서 저탄소 기술과 기후변화 대응이 갖는 의미 △저탄소 도시를 위한 정책 방향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도시·시민·기업·정부의 협력 방안 등이 논의된다. 서울시는 C40 회의 기간에 캐나다 토론토 시와 독일 프라이부르크 시, 브라질 상파울루 시 등 8개 도시와 기후변화 대응 등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같은 기간 코엑스에서는 기후변화박람회가 열린다. 삼성 현대 포스코 등 대기업들은 이 박람회에서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 효율화 분야의 최첨단 기술 및 제품을 선보인다. 박람회는 서울시와 환경부, 지식경제부 등 21개 기관이 참여해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대응방안을 보여주는 ‘시민의 마당’과 인천, 도쿄, 프라이부르크 등 15개 국내외 도시가 각 도시의 환경정책을 홍보하는 ‘협력의 마당’, 삼성 현대 등 46개 국내외 기업이 관련 기술과 제품을 전시하는 ‘녹색성장의 마당’으로 구성돼 있다.
○ ‘친환경 도시’ 서울을 세계에 각인
서울시는 이번 회의가 친환경 도시로서 서울의 이미지를 국제사회에 알리고, 기후변화 선도 도시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취지에 걸맞게 이번 행사에서는 행사장을 만들 때 친환경 재활용 자재를 최대한 사용했다. 또 참석자들이 공항과 호텔을 오갈 때 가급적 개인 승용차 대신 버스를 이용하게 하고, 승용차로 이동할 때도 수소연료전지차를 활용한다.
오 시장은 회의 기간에 강서구 마곡지구 도시개발사업에서의 친환경 노력과 그동안 기후친화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한 각종 노력 및 성과 등에 대한 우수 사례를 발표한다. 서울시는 2007년 4월 ‘친환경 에너지 선언’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이용률을 2020년까지 10%로 높이고 연간 에너지 이용률을 10%씩 줄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빌딩 ‘레트로핏(Retrofit)사업’(건물 리모델링 시 에너지 절약형으로 빌딩을 개조하도록 자금을 대출해주고 절약된 비용으로 대출금을 갚게 하는 제도)을 시행하고 있으며, 자전거도로를 늘려 2014년까지 자전거 교통수단 분담률을 현재 1.2%에서 6.0%로 높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