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3일 중국 단둥을 거쳐 오전 9시 40분(한국시간 오전 10시 40분)께 다롄(大連)에 도착했다.
김 위원장 일행은 특별열차 편으로 다롄 역에 도착해 리무진 등 의전 차량 20여대에 나눠 타고 시내 중심가에 있는 푸리화(富麗華) 호텔로 들어가는 게 목격됐다. 이들 의전차량에 앰뷸런스 1대가 동행했다. 또 푸리화호텔 앞에서 '평양 15729' 번호판을 단 25인승 중형버스가 대기하는 장면도 포착됐다.
다롄시는 이날 오전 9시부터 한 시간 가량 시내 교통을 통제했다. 현지 목격자는 "교통 통제의 이유를 묻자 교통경찰이 '김 위원장의 방문 때문'이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5시20분(한국시각 6시20분)께 전용 특별열차 편을 이용해 북한과 중국 접경지역인 중국 단둥(丹東)에 도착한 뒤 단둥 인근도시인 펑청(鳳城)을 거쳐 다롄으로 향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의 다롄 이동 경로와 관련해 특별열차가 아닌 승용차 또는 미니버스 등을 이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날 오전 2시경 북중우의교를 통해 다롄 지역 번호판인 '랴오(遼)B'로 시작하는 미니밴 6대가 신의주에서 단둥으로 들어왔으며, 이어 단둥역 광장에서 아우디 의전차량 7대와 미니버스 1대가 움직이면서 그 앞에 경호차량이 지나는 게 목격되기도 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 일행이 단둥 인근에서 의전차량으로 갈아타고 다롄으로 움직였을 것이라는 추론도 내놓고 있다. 실제 단둥~다롄 간 고속도로는 2일 오후 8시부터 통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의 다롄 일정은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북한이 개발 중인 라진항 건설 계획을 비롯한 북·중 경제협력 및 대북 투자문제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다롄은 동북3성의 물류 중심지이고 향후 북한 라진항 개방의 벤치마킹이 가능한 곳이다.
김 위원장은 다롄에서 항만시설 등을 둘러보고 2008년 북한 라진항 1호 부두 독점사용권을 확보해 중국의 '동해 출항권'을 따낸 창리 그룹 관계자들을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위원장의 전체 방중일정은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2박3일 또는 3박4일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