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이란 추가 제재 결의안에 미온적이던 중국을 수개월 동안 공들인 ‘은밀한 작업’ 끝에 설득에 성공한 후일담을 뉴욕타임스가 8일 보도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미국이 안보리 이사국인 중국의 책임감에 호소하는 ‘이상적 접근’을 했던 것과 달리 이스라엘은 이란 제재 결의안 찬성의 ‘실리적 효과’를 제시하는 전략을 택했다. 이스라엘은 올해 2월 고위급 관리들을 베이징(北京)에 파견해 이란의 핵 개발 야망을 뒷받침하는 기밀정보를 직접 전달했다. 여기서 이스라엘은 외교적 수사나 협상을 포기하고 자신들의 의도를 그대로 드러내는 ‘정면 돌파’를 감행했다. 이란 핵무기 개발 제재가 실패하면 이스라엘은 군사공격에 나설 것이며, 이로 인한 경제적 파장은 중국도 피할 수 없을 것임을 설명했다. 이스라엘 관리는 “중국은 기밀정보 자체는 별로 놀라워하지 않아 보였다”며 “하지만 자신들의 주요 석유수입 지역인 중동에 대한 이스라엘의 선제공격 카드를 꺼내자 이내 자리를 고쳐 앉으며 집중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스라엘의 이런 설득이 중국 동참에 결정적인 계기가 됐는지는 확신할 수 없다. 그러나 이번 외교가 이스라엘처럼 비교적 영향력이 작은 나라가 중동지역에서 ‘슈퍼 파워’로 자리잡아가는 중국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를 일러주는 사례임은 분명하다고 뉴욕타임스는 평가했다. 특히 최근 중국은 이스라엘의 ‘주적’인 중동 이슬람 국가로부터 엄청난 양의 석유를 사들이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어 양국 관계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2000년 미국의 압력으로 이스라엘이 중국에 무기를 수출하려다 실패한 이후 양국 관계는 여전히 걸음마 단계다. 무역규모가 2006년 38억 달러에서 지난해 45억 달러로 늘었지만 중국 쪽에선 미미한 수준이다. 이 때문에 이스라엘은 경제보다 학술과 문화 의료 부문의 교류를 중시하는 ‘소프트 파워 외교’에 치중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이 앞으로도 이스라엘이 바라는 대로 움직여 줄지는 의문이다. 뉴욕타임스는 “중국은 지난해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침공했을 때 전쟁범죄를 규탄하는 유엔난민기구의 보고서를 지지했으며, 최근 이스라엘의 정착촌 건설도 비난해 왔다”고 지적했다.
댓글 0